Topic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JackerLab 2025. 3. 31. 02:45
728x90
반응형

개요

DID(Decentralized Identifier)는 중앙 기관 없이 사용자가 스스로 디지털 신원을 생성하고 통제할 수 있도록 설계된 분산형 식별자입니다. 기존 ID 시스템의 중앙 집중형 구조와 달리, DID는 블록체인 및 탈중앙 기술을 기반으로 자기 주권 신원(Self-Sovereign Identity, SSI)을 가능하게 하며, Web3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DID의 구조, 동작 원리, 장단점, 활용 사례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봅니다.


1. 개념 및 정의

  • DID는 탈중앙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고유한 식별자로, 특정 개인, 조직, 사물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 DID는 중앙 서버나 인증 기관 없이 생성되며, 사용자가 소유하고 제어합니다.
  • DID 문서(DID Document)를 통해 공개 키, 인증 방법, 서비스 엔드포인트 등 신원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에 연결합니다.

2. 구조 및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DID Identifier 고유 식별자 (URI 형태) did:example:123456789abcdefghi
DID Document DID에 연결된 공개 정보 인증 키, 서비스 주소 등
DID Method DID를 생성·해석하는 방식 did:ion, did:ethr, did:sov
Resolver DID → DID Document 변환 도구 유효한 DID 문서를 반환

DID는 신원 정보의 주권을 사용자에게 넘기는 핵심 구조를 바탕으로 설계되었습니다.


3. 특징

특징 설명 효과
자기 주권(Self-Sovereign) 개인이 스스로 DID를 생성·관리 프라이버시 보호 및 데이터 주권 확보
상호운용성 다양한 DID Method 지원 블록체인 간, 플랫폼 간 통합 가능
검증 가능성 공개 키 기반 서명 및 검증 제3자 신뢰 없이 검증 가능
탈중앙성 중앙 기관에 의존하지 않음 단일 실패 지점 없음

DID는 사용자가 통제할 수 있는 디지털 신원을 제공함으로써 개인 중심의 신뢰 생태계를 만듭니다.


4. 장점 및 단점

구분 장점 단점
보안성 키 기반 서명으로 위조 방지 개인 키 분실 시 회복 어려움
개인정보 보호 중앙 저장소 불필요 사용자 책임 증가
유연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DID Method마다 표준 상이함
투명성 누구나 검증 가능 실명 인증 필요 시 추가 인증 요구

DID는 기존 인증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지만, 사용자 보안 관리에 대한 책임도 요구합니다.


5. 주요 활용 사례

분야 적용 예시 설명
금융 신원 인증 없는 KYC, DID 기반 로그인 탈중앙 금융(DeFi) 접근 개선
의료 환자 중심 의료 데이터 공유 DID로 EMR 접근 제어
교육 디지털 졸업장, 자격증 발급 Verifiable Credential 기반 증명
사물인터넷 IoT 디바이스 식별 및 인증 기기 DID + 키 관리 활용
국가 및 공공 블록체인 주민등록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DID Alliance, 대한민국 DID 플랫폼 등

DID는 개인뿐 아니라 조직, 사물 등 다양한 주체의 신원 증명 인프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6. DID 관련 기술 표준

표준 설명 주관 기관
W3C DID Core DID의 기본 형식 및 문서 구조 정의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Verifiable Credentials 검증 가능한 증명서 형식 W3C
DID Method Registry 등록된 DID 방법 목록 W3C, DIF 등
DIDComm DID 기반 통신 프로토콜 Decentralized Identity Foundation (DIF)

표준화는 DID 생태계의 확장성과 상호운용성을 위한 핵심 기반입니다.


7. 결론

DID는 개인이 자신의 디지털 신원을 안전하게 소유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혁신적인 식별자 시스템입니다. 탈중앙화, 검증 가능성, 상호운용성을 갖춘 DID는 Web3, 디지털 신원, 인증,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아우르는 핵심 기술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신원 인프라의 표준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OP (Self-Issued OpenID Provider)  (0) 2025.03.31
Verifiable Credential (VC)  (1) 2025.03.31
Paxos  (0) 2025.03.31
RAFT(Reliable, Replicated, and Fault-Tolerant)  (0) 2025.03.31
Blockchain Types(블록체인 종류)  (1)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