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Verifiable Credential (VC)

JackerLab 2025. 3. 31. 03:46
728x90
반응형

개요

Verifiable Credential(VC, 검증 가능한 증명서)은 사용자가 소유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위·변조 없이 제3자에게 검증 가능한 디지털 증명 기술입니다. W3C의 DID(Decentralized Identifier) 표준과 함께 작동하며, 학위, 자격증, 의료 기록, 금융 정보 등 다양한 실제 증명서를 디지털화해 Web3 시대의 신원 증명 인프라를 형성합니다. 본 글에서는 VC의 개념, 구조, 장단점, 사용 사례를 포함한 기술적 배경을 상세히 다룹니다.


1. 개념 및 정의

  • **Verifiable Credential (VC)**는 발행자가 서명하여 발급하고, 사용자가 저장·제시할 수 있으며, 검증자는 그 정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증명입니다.
  • 전통적인 PDF 증명서나 이메일 인증과는 달리, 위조 방지와 실시간 검증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스스로 관리(Self-Sovereign)할 수 있습니다.
  • W3C의 VC 표준은 데이터 모델, 서명 방식, 프레젠테이션 포맷 등을 정의합니다.

2.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Issuer (발급자) 신뢰 기반 기관 또는 주체 대학교, 정부, 기업 등
Holder (소유자) VC를 보관하고 제시하는 사용자 개인 사용자, 학생 등
Verifier (검증자) VC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제3자 고용주, 금융기관 등
VC Document JSON 기반의 구조화된 증명서 이름, 자격, 만료일 포함
Cryptographic Proof 디지털 서명 정보 발급자 DID와 연결됨

VC는 DID와 연동되어 탈중앙화된 신원 증명을 가능하게 합니다.


3. VC vs 기존 증명 방식

항목 기존 방식 Verifiable Credential
위조 방지 없음 (복사 가능) 디지털 서명으로 위조 불가
실시간 검증 불가 (전화, 이메일로 확인) 온라인 즉시 검증 가능
제시 제어권 기관 또는 시스템이 통제 사용자 중심 통제 가능
상호운용성 표준화 미흡 W3C 기반 글로벌 표준화

VC는 신뢰, 효율성, 프라이버시 측면에서 기존 방식보다 혁신적인 대안을 제공합니다.


4. 장점 및 단점

구분 장점 단점
보안성 서명 기반 위변조 방지 프라이빗 키 관리 필요
신뢰성 DID 기반 신원 연계 표준 간 상호운용성 개발 필요
사용자 중심 본인이 선택적으로 정보 제시 가능 기술적 이해 필요
자동화 검증 자동화 가능 초기 생태계 도입 비용 존재

VC는 자기주권 신원(SSI) 구조와 결합될 때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5. 주요 활용 사례

분야 활용 예시 설명
교육 디지털 졸업장, 수료증 NFT 인증서 + DID 연동 가능
채용 이력서 기반 경력 검증 HR 플랫폼에서 자동 검증
금융 소득증명, 신용평가서 KYC/AML 간소화에 활용
의료 백신 접종 이력, 처방전 개인정보 보호 기반 공유
공공 디지털 운전면허증, 여권 DID + VC 기반 국가 신원체계

VC는 다양한 분야에서 문서의 신뢰성, 효율성,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향상시킵니다.


6. 표준 및 기술 프레임워크

항목 설명 관련 기관
W3C VC Data Model VC 구조 및 표현 방식 정의 W3C (World Wide Web Consortium)
JSON-LD / JWT VC 문서 포맷 및 서명 방식 DIF, W3C 등
Verifiable Presentation 여러 VC를 묶어 제시하는 구조 selective disclosure 지원
VC Wallet VC 보관 및 제시를 위한 디지털 지갑 DID Wallet, Microsoft Entra 등

VC는 표준화된 데이터 구조와 서명 체계를 기반으로 상호운용성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7. 결론

Verifiable Credential은 신뢰 가능한 디지털 증명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로, DID와 함께 Web3 시대의 신원 인프라를 형성합니다. 정보 위·변조 방지, 사용자 중심의 제어권, 자동화된 검증 메커니즘은 기존 인증 구조를 혁신하고 있으며, 교육, 금융,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국가 간 신원 상호인증, 글로벌 신뢰 프레임워크로 발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vel Rule(트래블 룰)  (0) 2025.03.31
SIOP (Self-Issued OpenID Provider)  (0) 2025.03.31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0) 2025.03.31
Paxos  (0) 2025.03.31
RAFT(Reliable, Replicated, and Fault-Tolerant)  (0)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