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SIOP(Self-Issued OpenID Provider)은 사용자가 직접 인증 주체가 되어 OpenID Connect 프로토콜을 통해 자신의 디지털 ID를 제시하고 검증받을 수 있도록 하는 탈중앙형 인증 방식입니다. 기존 중앙화된 ID 제공자(Google, Facebook 등)의 종속성을 제거하고,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및 Verifiable Credential과 결합해 Web3 시대의 자기주권형 신원(Self-Sovereign Identity, SSI)을 실현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 SIOP는 기존 OpenID Connect 구조에서 ‘사용자 스스로’ OpenID Provider가 되는 확장 모델입니다.
- 사용자는 DID를 기반으로 한 지갑 또는 VC Wallet을 통해 자신을 인증하며, ID 토큰을 발급해 RP(Relying Party)에게 제시합니다.
- OpenID Foundation의 OpenID for Verifiable Presentations 스펙과 연동되어, Verifiable Credential을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구조 및 구성 요소
|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 사용자(SIOP) | 인증 주체로 직접 OIDC 토큰 생성 | DID Wallet, 스마트폰 지갑 앱 |
| RP(Relying Party) | 인증 요청 및 ID Token 수신자 | 웹사이트, 서비스 제공자 등 |
| DID | 사용자 식별자 (Self-Issued) | did:key, did:ion 등 |
| VC/VP | Verifiable Credential 및 프레젠테이션 | 학위, 자격증, 의료 기록 등 |
| OIDC 프로토콜 | 표준 인증 흐름 제공 | OAuth2 기반 인증 확장 |
SIOP는 중앙 서버 없이 지갑 기반으로 동작하며, 사용자의 키와 서명을 통해 신뢰를 확보합니다.
3. 인증 흐름
| 단계 | 설명 | 프로토콜 요소 |
| 1. 요청 | RP가 인증 요청 URI를 생성 | OIDC Authn Request |
| 2. 응답 | 사용자가 지갑 앱에서 확인 후 서명 | SIOP + VP/ID Token 생성 |
| 3. 전달 | 서명된 ID Token + VP를 RP에 전달 | JWT, JSON-LD 등 사용 |
| 4. 검증 | RP가 ID Token과 VC 유효성 검증 | 공개 키, DID Resolver 활용 |
SIOP는 OAuth 기반 흐름과 유사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서명과 발급 주체가 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4. SIOP의 특징
| 특징 | 설명 | 효과 |
| 탈중앙 인증 | ID 제공자가 아닌 사용자가 인증 주체 | 사용자 통제력 강화 |
| 프라이버시 보호 | 선택적 정보 공유(Selective Disclosure) | 최소 정보 제공 원칙 적용 |
| 상호운용성 | OIDC, DID, VC와 연동 가능 | 글로벌 ID 생태계 통합 가능 |
| 확장성 | 다양한 지갑, 플랫폼과 통합 가능 | Web3, DApp 인증에 적합 |
SIOP는 사용자가 자신의 인증 정보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신원 프레임워크를 구현합니다.
5. 장점 및 고려사항
| 구분 | 장점 | 고려사항 |
| 사용자 통제 | 키와 VC 관리 주체가 사용자 | 키 분실 시 복구 어려움 존재 |
| 보안성 | 로컬 서명 기반 검증 | 서명 위조 방지 필요 |
| 탈중앙화 |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음 | 초기 RP 수용성 확보 필요 |
| 모바일 친화성 | 지갑 앱 기반 UX 최적화 | UX 표준화 및 지갑 간 호환성 과제 |
SIOP는 개인정보 보호 중심의 인증 체계를 지향하지만, 기술적 UX 및 표준 정립은 아직 진행 중입니다.
6. 활용 사례
| 분야 | 적용 예시 | 설명 |
| Web3 로그인 | DID + SIOP 로그인 방식 | DApp, NFT 마켓, 메타버스 |
| 탈중앙 금융(DeFi) | KYC 없이 VC 기반 신원 증명 | 금융 접근성 및 프라이버시 향상 |
| 디지털 지갑 | DID 기반 VC 저장 및 인증 기능 | Lissi, MetaMask Snap, Bloom 등 |
| 공공 인증 | 디지털 주민증, 모바일 자격증 | DID Alliance, 대한민국 MyData 서비스 |
SIOP는 개인정보 보호와 사용자 중심 인증이 중요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대안으로 부상 중입니다.
7. 결론
SIOP(Self-Issued OpenID Provider)는 기존 중앙화 인증 모델을 대체할 수 있는 사용자 주도형 인증 기술로, DID 및 Verifiable Credential과 결합해 신뢰성, 상호운용성, 프라이버시를 모두 강화합니다. Web3, 디지털 지갑, 공공 인증 분야에서의 실용적 활용과 함께, 향후 글로벌 ID 인프라의 핵심 기술로 발전할 전망입니다.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0) | 2025.03.31 |
|---|---|
| Travel Rule(트래블 룰) (0) | 2025.03.31 |
| Verifiable Credential (VC) (1) | 2025.03.31 |
| DID (Decentralized Identifier) (0) | 2025.03.31 |
| Paxos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