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네트워크프로토콜 2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개요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내의 장치에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정보 등을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관리자의 수작업 없이도 수백~수천 대의 장치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며, 유선·무선 네트워크, 기업 환경, 홈 네트워크 등 다양한 곳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DHCP의 개념, 작동 원리, 구성 요소, 설정 방법 및 보안 고려사항까지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1. 개념 및 정의DHCP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자동으로 IP 주소 및 관련 네트워크 설정을 할당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기존의 수동 IP 설정 방식에 비해 편의성과 효율성이 높아, 현대 네트워..

Topic 2025.04.02

X.25 (패킷 교환망 프로토콜)

개요X.25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널리 사용된 국제 표준 패킷 교환망 프로토콜로, 공중 데이터망(Public Data Network, PDN)에서 원거리 통신을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전화망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이 기술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오류 제어를 내장하고 있어, 당시 낮은 품질의 회선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 글에서는 X.25의 개념, 구조, 프로토콜 계층, 동작 방식 및 현대적 의의까지 포괄적으로 설명한다.1. 개념 및 정의X.25는 ITU-T(구 CCITT)가 제정한 패킷 교환 프로토콜로, 단말 장치(DTE)와 네트워크 종단 장치(DCE) 간의 통신을 위해 설계되었다. 회선 교환 방식의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 패킷 단위로 ..

Topic 2025.03.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