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evOps 187

Release Health Score (RHS)

개요Release Health Score(RHS)는 소프트웨어의 릴리스 안정성과 품질 수준을 정량화하여 점수로 표현한 지표입니다. RHS는 CI/CD 파이프라인 내에서 자동 측정이 가능하며, 주요 품질 요소(테스트 통과율, 배포 실패율, 사용자 영향도, 성능 저하 여부 등)를 조합해 단일 스코어로 제공함으로써 릴리스의 건강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본 글에서는 RHS의 개념, 측정 항목, 기술 스택, 도입 효과 및 사례를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릴리스의 품질, 안정성, 사용자 영향을 수치화한 종합 스코어0~100 스케일 또는 등급화 가능목적릴리스 품질 모니터링 및 개선 방향 도출제품 운영 안정성 확보필요성버그, 오류, 성능 저하 등 릴리스 리스크를 ..

Topic 2025.08.17

Team Cognitive Load Index (TCLI)

개요Team Cognitive Load Index(TCLI)는 개발팀, 운영팀, 프로젝트 조직 등 협업 중심 조직의 인지적 부담 수준을 정량화하여 팀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인지 부하는 작업 성능과 팀 만족도, 이직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TCLI는 이를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조직 운영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합니다. 본 글에서는 TCLI의 개념, 측정 방법, 구성 요소, 활용 사례 및 적용 시 고려사항 등을 상세히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팀 단위의 인지 부하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팀 구성원 평균화 지표로 사용목적팀 내 복잡도, 인터럽트, 도구 다양성 등을 통합 진단협업 부담 완화 목적필요성복잡한 시스템 구조, 잦은 컨텍스트 전환 등..

Topic 2025.08.16

Synthetic Monitoring-as-Code (SMaC)

개요Synthetic Monitoring-as-Code(SMaC)는 합성 모니터링(synthetic monitoring)을 코드로 선언하고 버전 관리하며, CI/CD 파이프라인에 통합해 모니터링 인프라를 자동으로 배포·운영할 수 있게 하는 DevOps 중심의 관측 전략입니다. 사용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는 합성 테스트 스크립트를 코드화하여 모니터링 신뢰성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SMaC는 단순 모니터링 설정을 넘어서, 사용자 행동 흐름(로그인, 결제 등) 또는 API 호출을 시뮬레이션하는 합성 모니터링 스크립트를 코드로 정의하고 배포 자동화 체계와 연계하여 관리하는 방법론입니다.목적: 운영 전후의 서비스 정상 동작 여부를 사전 확인하기 위한 자동화된 합성 테스트 구성필요성: ..

Topic 2025.08.14

Terragrunt Module Hierarchies (TGMH)

개요Terragrunt Module Hierarchies(TGMH)는 인프라 구성 관리 도구인 Terragrunt에서 Terraform 모듈을 계층적(hierarchical)으로 구성함으로써, 환경별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패턴입니다. 특히 조직 내 수많은 환경(dev, stage, prod)과 리전, 서비스 구성을 효과적으로 추상화하고 공통 코드를 중복 없이 관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본 글에서는 TGMH의 구조, 구성 방식, 적용 시 고려사항을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TGMH는 Terragrunt를 사용하여 Terraform 모듈의 반복 사용을 줄이고, 공통 구성은 상위 계층에서 상속하며, 환경별 세부 설정은 하위 계층에 위치시키는 구조적 접근 방식입니다.목적: Terraf..

Topic 2025.08.14

OpenFeature Flagd (Flagd)

개요OpenFeature Flagd(Flagd)는 CNCF(OpenFeature) 생태계의 핵심 구성 요소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플랫폼에서 일관된 방식으로 피처 플래그(Feature Flag)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량화된 플래그 관리 데몬입니다. 클라이언트 SDK와 분리된 방식으로 플래그 처리를 수행하며, GitOps, CI/CD, A/B 테스트, Canary 배포 등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에 적합한 구성 모델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Flagd는 OpenFeature의 공식 플래그 런타임으로서, 피처 플래그 데이터를 외부에서 관리하고 다양한 클라이언트가 이를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조회/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경량 데몬입니다.목적: 피처 플래그의 표준화 및 분산 처리 구조 제공필요성:..

Topic 2025.08.14

TOGAF® Digital Edition (TDE)

개요TOGAF® Digital Edition(TDE)은 전통적인 TOGAF(The Open Group Architecture Framework)를 디지털 전환 환경에 맞게 확장한 최신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EA) 프레임워크입니다. 클라우드, AI, 애자일, DevOps 등 현대 IT 환경에서 EA의 민첩성과 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해 재정의된 TDE는, 디지털 서비스 중심의 아키텍처 설계와 운영을 지원합니다. 본 글에서는 TDE의 구조, 특징, 구성요소 및 실제 활용 전략을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TOGAF® Digital Edition은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TOGAF 10 기반으로 재구성된 EA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 복잡한 디지털 환..

Topic 2025.08.13

Engineering Effectiveness Radar (EER)

개요Engineering Effectiveness Radar(EER)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조직의 생산성, 품질, 협업, 개발문화 등을 다차원적으로 진단하고 시각화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다양한 영역의 성숙도 및 성과를 레이더 차트로 표현함으로써, 조직 내 강점과 개선 영역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본 글에서는 EER의 개념부터 활용 사례까지 체계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Engineering Effectiveness Radar는 엔지니어링 팀의 역량과 효과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측정하고 시각화하여, 전략적 개선을 유도하는 도구입니다. 주로 기술 리더십, 개발자 경험(DevEx), 품질, 자동화, 협업 문화 등 여러 축을 기준으로 진단합니다.목적: 조직의 엔지니어링 효율성과 개발 문화..

Topic 2025.08.10

Progressive Deployment Pattern (PDP)

개요애플리케이션의 배포는 사용자 경험, 서비스 안정성, 운영 효율성에 직결되는 민감한 과정이다. 특히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과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livery)가 확산되면서, 안전한 배포 전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Progressive Deployment Pattern(PDP)**은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는 핵심 전략으로, 배포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신속한 피드백을 가능하게 한다.PDP는 트래픽의 일부만 새로운 버전에 전달하며 점진적으로 전체 사용자에게 확장하는 방식으로, 카나리 배포, 블루-그린 배포, 롤링 업데이트 등의 기법이 이에 속한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Progressive Deployment Pattern(PDP)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버전을 점진적으..

Topic 2025.08.06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Software Industry Promotion Act)

개요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은 대한민국 소프트웨어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기술 개발, 기업 육성, 전문 인력 양성, 공공조달 혁신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2000년 제정되어 2020년 전면 개정되었으며, 현재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SW서비스 등 디지털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혁신 성장의 기반 법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소프트웨어산업의 진흥과 기업·인력·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종합 법률법률 제16964호 (2020년 개정)목적SW 기반 산업 경쟁력 확보와 공공서비스 디지털화 촉진디지털 대전환 정책과 연계적용 대상SW기업, 스타트업, 공공기관, 교육기관, 수요기업 등민간 및 공공 부문 모두 포함단순 소프트웨어 생산을 넘어 SW 융합·서비스..

Topic 2025.07.29

Error-Budget Policy-as-Code (EBPaC)

개요Error-Budget Policy-as-Code(EBPaC)는 서비스 신뢰성 확보를 위한 오류 예산(Error Budget)을 기반으로 정책을 코드화하고, 자동화된 방식으로 서비스 배포 및 운영을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이는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의 핵심 원칙을 DevOps 파이프라인에 통합하여, 안정성과 속도 간 균형을 정량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비고 정의오류 예산(Error Budget)을 기준으로 서비스 정책을 코드로 구현하여 자동화하는 접근 방식GitOps, Policy-as-Code와 통합 가능목적SLO 위반 방지를 위한 정책 실행 자동화안정성과 배포 속도 간 균형 유지필요성SRE 기반 조직에서 수동적 운영 ..

Topic 2025.07.27

Blue-Green Progressive Merge (BGPM)

개요Blue-Green Progressive Merge(BGPM)는 블루-그린 배포(Blue-Green Deployment)와 점진적 롤아웃(Progressive Delivery)의 장점을 결합한 소프트웨어 배포 전략입니다. 이는 신규 버전을 별도 환경(그린)에 배포한 후, 사용자의 일부 트래픽만 전환하여 안정성과 성능을 검증하고, 점진적으로 블루와 병합(Merge)해가는 방식입니다. 안정성과 빠른 배포를 동시에 달성하려는 DevOps, MLOps, AI 서비스 환경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Blue-Green Progressive Merge는 두 개의 독립적인 배포 환경(Blue, Green)을 운영하면서, 그린 버전에 대한 트래픽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고, 충분히 검증되었을 때 기존 블루..

Topic 2025.07.24

Internal API Marketplace (IAP)

개요Internal API Marketplace(IAP)는 조직 내부에서 개발된 다양한 API를 중앙에서 등록·관리·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마치 사내 개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API 쇼핑몰’처럼, 팀 간 API를 쉽게 탐색하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하여 개발 효율성과 디지털 자산 활용도를 극대화합니다. IAP는 특히 대규모 조직,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DevOps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Internal API Marketplace란 내부 API를 제품(Product)처럼 문서화, 버전 관리, 사용 가이드와 함께 제공하고, 접근 권한 및 사용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사내 API 허브입니다.목표는 API의 가시성과 접근성을 높여 중복 개발을 줄이고, 개발 생산성을 높..

Topic 2025.07.23

Sidecarless eBPF Mesh (eMesh)

개요Sidecarless eBPF Mesh(eMesh)는 기존 서비스 메시에서 사용되던 사이드카 프록시를 제거하고, 커널 수준에서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를 활용해 트래픽 제어, 보안, 로깅 등을 수행하는 차세대 서비스 메시 구조이다. 성능 저하 없이 네트워크 가시성, 정책 적용, 통신 제어를 실현할 수 있어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정의eBPF를 활용해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트래픽을 사이드카 없이 제어·관측하는 서비스 메시 아키텍처목적서비스 메시의 복잡도와 성능 비용을 줄이고 경량화된 메시 솔루션 제공필요성사이드카 기반 Istio, Linkerd의 퍼포먼스 한계 및 운영 복잡성 극복 요구2. 특징특징설명..

Topic 2025.07.21

Platform Engineering Blueprint (PEB)

개요Platform Engineering Blueprint(PEB)는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 내에서 개발자와 운영팀이 일관된 환경에서 높은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부 개발자 플랫폼(Internal Developer Platform, IDP)’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표준 구조이다. DevOps, GitOps, SRE 등의 모범 사례를 통합한 PEB는 자율성과 보안, 표준화의 균형을 갖춘 현대적 플랫폼 전략이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개발자 중심의 셀프서비스 플랫폼을 설계하기 위한 기술적·조직적 아키텍처 프레임워크목적플랫폼팀이 반복되는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고 개발팀의 자율성과 속도를 보장필요성DevOps 도입 이후 복잡성 증가와 개발자 온보딩/운영 부담 해소 요구 증가2. 특징특징..

Topic 2025.07.20

Digital Immune System (DIS)

개요Digital Immune System(DIS)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관측, 예측, 방어, 복구 기능을 통합한 지능형 회복력 아키텍처이다. 인체의 면역 시스템에서 영감을 받아, 장애를 예방하거나 실시간 대응함으로써 운영 중단과 고객 영향도를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 목적이다. 가트너는 DIS를 2023년 이후 주요 기술 트렌드로 제시한 바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시스템 내 장애·오류·보안 위협 등을 사전에 감지하고 자율적으로 대응 및 회복하는 통합 지능형 복원 아키텍처목적고객 경험을 저해하는 시스템 오류와 다운타임을 최소화하여 운영 회복력을 확보필요성복잡한 분산 시스템, 멀티클라우드, DevOps 환경에서 실시간 문제 대응 요구 증가2. 특징특징설명차별점관..

Topic 2025.07.19

Terramate Stacks (TM-Stacks)

개요Terramate Stacks(TM-Stacks)는 Terramate가 제공하는 계층형 스택(stack) 기반의 인프라 코드 구성 전략으로, 대규모 Terraform 프로젝트를 모듈화하고 병렬화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GitOps와 계층 구조 기반의 의존성 제어를 통해 수십~수백 개의 인프라 단위를 일관되게 운영할 수 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Terramate에서 디렉터리 기반으로 정의되는 인프라 단위 구성체 (stack)로, 계층형 의존성 및 병렬 실행 지원목적대규모 인프라 구성을 효율적으로 분리, 병렬화, 제어하기 위한 구조화된 구성 방법필요성Terraform의 모놀리식 또는 무분할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확장성 및 변경 영향 관리 한계를 해결하기 위함2. 특징특징..

Topic 2025.07.18

InnerSource Readiness Index (IRI)

개요InnerSource Readiness Index(IRI)는 조직 내부에서 오픈소스 개발 원칙을 도입하고 확산하는 준비 수준을 체계적으로 진단하는 평가 지표이다. 기업의 개발 문화, 협업 프로세스, 기술 인프라, 리더십 참여 등 다양한 측면을 정량화해 InnerSource 도입 가능성과 성숙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돕는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기업이나 조직 내 InnerSource 도입 준비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종합 평가 지표목적협업 기반 개발 문화 정착 여부와 시스템적 지원 수준을 정량적으로 파악필요성오픈소스 원칙 도입을 위한 조직문화, 인프라, 리더십 등 다방면의 준비 요소 확인 필요2. 특징특징설명차별점다차원 평가문화, 프로세스, 기술, 리더십 등 4대 영역 측정단순 툴 도입 여부..

Topic 2025.07.18

Open Digital Architecture (ODA)

개요Open Digital Architecture(ODA)는 TM Forum에서 제안한 차세대 디지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방형 아키텍처 모델로, 통신사 및 디지털 서비스 제공자들이 레거시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민첩하고 확장 가능한 구조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다. API 기반 상호 운용성과 모듈화된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과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초점을 둔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TM Forum이 정의한 API 중심의 모듈형 디지털 서비스 아키텍처목적통신사업자 및 디지털 서비스 제공자의 민첩성, 유연성, 상호 운용성 확보필요성복잡하고 폐쇄적인 BSS/OSS를 개방형 구조로 전환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 필요2. 특징특징설명차별점구성 요소의 모듈화각 기능을 독립적인 컴포넌트로 분리기존 ..

Topic 2025.07.18

Helmfile (HF)

개요Helmfile은 Helm 기반의 Kubernetes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보다 효율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선언적 구성 도구이다. 여러 개의 Helm 차트를 버전별로 정의하고, 환경별 배포 설정을 템플릿 형태로 관리함으로써, 복잡한 클러스터 배포 환경을 코드로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해준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Helmfile은 Helm 차트를 YAML 파일로 정의하여 쿠버네티스 애플리케이션을 선언적으로 관리하는 CLI 도구목적복잡한 다중 차트 배포 환경을 코드로 관리하여, 일관성과 재현성을 확보필요성수동 배포, 스크립트 기반 배포의 비효율성과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GitOps 방식으로 배포 관리 가능하게 함2. 특징특징설명비교선언적 구성YAML 기반으로 배포 구성을 ..

Topic 2025.07.17

ArgoCD ApplicationSets

개요GitOps 기반 Kubernetes 배포 자동화 도구인 ArgoCD는 선언형 애플리케이션 정의를 통해 신뢰성과 일관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수백 개 이상의 마이크로서비스, 클러스터, 환경(예: dev/staging/prod)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반복 배포해야 할 경우, 개별 Application 리소스를 일일이 정의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이를 해결하는 고급 기능이 바로 ApplicationSets입니다. 본 글에서는 ArgoCD ApplicationSets의 개념, 구조, 생성 전략, 템플릿 활용법까지 실전 중심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ApplicationSets는 ArgoCD에서 제공하는 확장 리소스로, 여러 개의 Application 객체를 템플릿 기반으로 선언적 생성 및..

Topic 2025.07.17

Developer Portal Maturity Model (DPMM)

개요현대 소프트웨어 조직은 점점 더 많은 API, 서비스, 플랫폼 구성요소를 내·외부 개발자에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개발자 포털(Developer Portal)**입니다. 하지만 포털은 단순한 링크 모음이나 문서 페이지를 넘어, **개발자 경험(DX)**을 중심으로 진화해야 하며, 그 발전 수준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모델이 바로 **Developer Portal Maturity Model(DPMM)**입니다. 본 글에서는 DPMM의 구조, 각 단계별 특징과 기술 요소, 실제 구현 사례를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Developer Portal Maturity Model(DPMM)**은 개발자 포털이 기술적, 조직적,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얼마나 성숙한 상태인지..

Topic 2025.07.17

Open Source Program Office (OSPO)

개요오픈소스는 오늘날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제품과 기술 인프라의 핵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조직 내부에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보안 및 라이선스 이슈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커뮤니티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전담 조직이 필요해졌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Open Source Program Office (OSPO)**입니다. 본 글에서는 OSPO의 개념, 기능, 기술적 구성, 조직 내 가치, 실무 구축 방안을 종합적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OSPO(Open Source Program Office)**는 조직 내부에서 오픈소스 사용, 기여, 배포, 정책, 보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조율하는 전담 부서 또는 기능적 팀입니다.OSPO는 단순한 개발 부서의..

Topic 2025.07.17

Green SRE

개요기후 위기 대응과 지속 가능성이 기업 운영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면서, IT 인프라 운영 역시 친환경 전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는 대규모 인프라와 운영 자동화의 중심에 있는 만큼, 운영 효율뿐 아니라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의 설계, 즉 Green SRE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Green SRE의 정의, 적용 요소, 기술 전략, 실무 사례까지 포괄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Green SRE는 SRE 원칙에 기반하여 시스템 가용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전력 효율성, 자원 최적화, 탄소 배출 감소 등을 함께 고려하는 지속 가능한 운영 전략입니다.이는 환경 중심의 운영 메트릭을 기존의 SLO, SLA, Error ..

Topic 2025.07.17

k0s (Lightweight Kubernetes)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의 핵심인 Kubernetes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설치와 운영의 복잡성이 높아 경량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등장한 것이 k0s입니다. k0s는 Mirantis에서 개발한 초경량 쿠버네티스 배포판으로, 단일 바이너리 형태로 제공되어 간편한 설치, 빠른 실행, 낮은 리소스 사용률을 자랑합니다. 본 글에서는 k0s의 아키텍처, 구성 요소,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경량 쿠버네티스 배포의 핵심을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k0s는 CNCF 표준을 따르면서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단일 바이너리 기반의 Kubernetes 배포판입니다.컨트롤 플레인, 워커 노드, 클러스터 부트스트래핑, 네트워크 플러그인, 스토리지 드라이버 등 모든 구성 요소..

Topic 2025.07.16

Engineering Productivity Observatory

개요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서 생산성은 팀과 조직의 성공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하지만 생산성을 단순한 산출량으로만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코드 품질, 협업 효율, 심리적 안전성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복합성을 고려해 생산성을 정량화·정성적으로 관측하고 개선하기 위한 체계가 **Engineering Productivity Observatory(엔지니어링 생산성 관측소)**입니다.1. 개념 및 정의Engineering Productivity Observatory는 개발자의 활동, 협업 패턴, 시스템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생산성에 대한 종합적인 통찰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 또는 플랫폼입니다.이는 생산성 자체를 단일 지표로 단순화하지 않고, 여러 차원에서 데이터를 수집·분석..

Topic 2025.07.16

GitOps Reconciliation Loop

개요GitOps는 Git을 단일 신뢰 소스로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인프라의 배포와 운영을 자동화하는 방식입니다. 이 접근법의 핵심은 Reconciliation Loop(동기화 루프)로, 시스템이 선언된(desired) 상태와 실제 상태를 비교하고 일치시키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합니다. 본 글에서는 GitOps의 핵심 메커니즘인 Reconciliation Loop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Reconciliation Loop는 Git에 선언된 상태(desired state)와 클러스터의 실제 상태(actual state)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불일치가 발생했을 때 이를 자동으로 조정(reconcile)하는 반복 과정입니다.이 루프는 GitOps 툴(예: Argo CD, Flux 등)..

Topic 2025.07.15

Engineering Effectiveness (E²)

개요Engineering Effectiveness(E²)는 개발자의 생산성과 협업 효율, 코드 품질, 배포 속도, 시스템 신뢰도 등을 총체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엔지니어링 운영 전략이다. 단순한 ‘속도 향상’이 아닌, 개발자의 경험(Developer Experience, DX), 프로세스 자동화, 기술 인프라 품질까지 포괄하며 소프트웨어 조직의 전략적 역량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1. 개념 및 정의**Engineering Effectiveness (E²)**는 엔지니어가 최대한의 가치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조직적 환경을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활동이다.목적: 개발 생산성과 품질의 동시 확보정의 범위: 엔지니어링 속도, 품질, 협업 효율, 유지보수성, 안정성적용 조..

Topic 2025.07.13

Kraken

개요디지털 서비스의 고도화와 함께 사용자는 수만에서 수백만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은 트래픽 급증, 대규모 동시성, 고부하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바로 분산 성능 테스트입니다. Kraken은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확장형 분산 부하 테스트 플랫폼으로, Netflix가 처음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하였으며, 이후 커뮤니티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Kraken은 컨테이너 기반의 실행 아키텍처와 강력한 분산 제어 기능으로 현실적이고 재현 가능한 성능 검증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Kraken은 사용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수천~수만 개의 가상 유저(Virtual User)를 분산 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분산 로드 ..

Topic 2025.07.12

Continuous Resilience Testing (CRT)

개요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확산은 시스템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여주었지만, 동시에 복잡성과 장애 위험성도 증가시켰습니다. 이제는 단순한 단위 테스트나 모니터링만으로는 장애에 대비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접근 방식이 **Continuous Resilience Testing (CRT)**입니다. CRT는 운영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시스템 회복력(Resilience)을 테스트하고, 장애에 대한 자동 대응력을 강화하는 차세대 Chaos Engineering 전략입니다.1. 개념 및 정의Continuous Resilience Testing은 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을 주기적·자동화 방식으로 검증하는 운영 중심 테스트 프레임워크입니다. 이는 단순히 장애를 유발하..

Topic 2025.07.11

VSM-Flow Metric

개요디지털 전환의 성공은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비즈니스 가치 전달 속도에 달려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 바로 **VSM(Value Stream Management)**이며, 이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가 Flow Metric입니다. VSM-Flow Metric은 개발 파이프라인 전반의 흐름과 병목을 가시화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유도하며, 고객 중심의 소프트웨어 전달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VSM-Flow Metric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작업 항목이 아이디어에서 고객 가치로 전달되는 전 과정을 추적하고 측정하는 정량 지표입니다. 이는 단순한 속도 측정이 아니라, **흐름(Flow)**의 효율성과 비즈니스 가치 전달 능력을 종합적으로 진단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Topic 2025.07.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