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4 578

공간 데이터 타입(Spatial Data Types)

개요공간 데이터 타입은 GIS 및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지리적 위치와 형태를 디지털로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입니다. 점, 선, 면, 복합 객체 등으로 분류되며, 좌표계와 결합해 지도 상의 실제 지형과 사물을 정밀하게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시티, 위치 기반 서비스, 자율주행, 토지관리 시스템 등에서 핵심 기반 기술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공간 데이터 타입은 공간 객체(Spatial Object)를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로, 위치 및 형태를 수치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지도 시각화에 활용됩니다. 대부분의 공간 DBMS(PostGIS, Oracle Spatial 등)와 GIS 도구에서 표준화된 형태로 제공됩니다.정의: 지리 공간상의 객체를 점, 선, 면 등으로 표현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

Topic 2025.04.16

공간 연산자(Spatial Operators)

개요공간 연산자(Spatial Operators)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및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지리적 객체들 간의 공간적 관계나 특성을 질의하고 분석하기 위한 연산 함수입니다. 위치 기반 서비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환경 분석 등에서 공간 데이터의 상호 작용을 정의하고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 요소입니다.1. 개념 및 정의공간 연산자는 점(Point), 선(Line), 면(Polygon) 등 공간 객체 간의 관계를 판별하거나, 공간 속성을 계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질의 및 분석 함수입니다. 관계형 DBMS 확장 기능(PostGIS, Oracle Spatial 등) 또는 GIS 엔진에서 사용됩니다.정의: 공간 객체 간의 포함, 교차, 거리, 인접 등의 관..

Topic 2025.04.16

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al Database)

개요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al Database)는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저장, 질의,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특수 목적의 데이터베이스입니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위치 기반 서비스(LBS)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기존 관계형 DB의 기능을 확장하여 공간 객체와 공간 연산을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공간 DB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위치 데이터(점, 선, 면 등)와 속성 데이터를 함께 저장하고, 공간 관계 및 분석이 가능한 DBMS입니다. 일반적인 SQL뿐 아니라 공간 전용 질의 언어와 함수도 지원합니다.정의: 위치 기반 공간 객체와 속성을 통합 저장하고 공간 연산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시..

Topic 2025.04.16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Multimedia Database)

개요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Multimedia Database, MMDB)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그래픽 등 다양한 **비정형 데이터(Non-structured Data)**를 저장, 관리, 검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 디지털 콘텐츠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미디어 콘텐츠의 효율적 저장 및 활용이 필수화되면서, MMDB는 디지털 아카이빙, 검색 엔진, 영상 분석 시스템 등에서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구조와, 해당 콘텐츠에 대한 특성 기반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DBMS입니다.정의: 텍스트 외의 시각·청각 데이터(이미지, 영상, 음성 등)를 통합 저장하고..

Topic 2025.04.16

XML 데이터베이스(XML Database)

개요XML 데이터베이스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입니다. 정형 데이터와 반정형 데이터의 경계를 허물며, 웹 서비스, IoT, 문서 중심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XML 데이터베이스는 XML 문서를 데이터의 기본 단위로 하여 저장, 질의, 수정,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특수 목적의 DBMS입니다. 트리 구조의 데이터 모델과 XPath, XQuery 등의 질의 언어를 통해 XML 기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정의: XML 형식의 데이터를 네이티브하게 혹은 매핑 방식으로 저장하고 처리하는 DB 시스템유형:Native XML DB: XML 자체를 트리..

Topic 2025.04.16

큐브리드(Cubrid)

개요큐브리드(Cubrid)는 대한민국에서 개발된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으로, 웹 기반 시스템에 최적화된 구조와 국산 기술 지원을 강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기업, 공공기관, 스타트업 등에서 상용 DBMS를 대체하거나 오픈소스 생태계 내에서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큐브리드는 (주)큐브리드가 주도적으로 개발한 RDBMS로, GPL 2.0 라이선스로 공개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트랜잭션 처리, 고가용성, 클러스터링 기능 등을 자체 기술로 제공하면서도, 기존 오라클·MySQL 사용자에게 친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정의: C 기반의 고성능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목표: 웹 애플리케이션 및 대용량..

Topic 2025.04.16

Confused Deputy 공격

개요Confused Deputy 공격은 합법적이고 신뢰된 프로그램(Deputy)을 이용하여 공격자가 본래 갖지 않은 권한으로 시스템 리소스에 접근하게 만드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소프트웨어가 권한을 구분하지 않고 요청을 처리할 때 발생하며, 잘못된 권한 검증 로직을 악용해 **간접적인 권한 상승(Elevation of Privilege)**을 유도하는 전형적인 설계 결함 기반 공격입니다.1. 개념 및 정의Confused Deputy는 1988년 Norman Hardy가 소개한 개념으로, “Deputy(대리인)” 역할의 프로그램이 자신의 권한과 요청자의 권한을 구분하지 못하고 행동할 때 발생하는 보안 사고입니다. 이로 인해, 권한이 낮은 주체가 고권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민감한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2..

Topic 2025.04.16

FIDO 2.0

개요FIDO 2.0(Fast Identity Online 2.0)은 사용자 인증에서 비밀번호를 제거하고, 공개키 기반 생체 인증 또는 보안 장치를 통해 안전하고 간편한 로그인 환경을 제공하는 차세대 인증 기술입니다. FIDO Alliance와 W3C가 협력하여 개발한 FIDO 2.0은 WebAuthn과 CTA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며, Microsoft, Google, Apple 등 글로벌 기업들이 채택하고 있는 국제 표준입니다.1. 개념 및 정의FIDO 2.0은 기존의 비밀번호 기반 인증의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한 인증 프레임워크입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 또는 하드웨어 키를 기반으로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활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정보는 로컬 장치에만 저장되어 서버에 전송되지 않음으로써 피..

Topic 2025.04.16

Chinese Wall 모델

개요Chinese Wall 모델은 기업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해 충돌(Conflict of Interest)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된 동적 접근 제어 모델입니다. 주로 금융, 회계, 법률, 컨설팅 산업 등에서 사용되며, 사용자가 특정 기업의 민감 정보를 열람한 이후, 경쟁사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식으로 정보 보안과 윤리 기준을 동시에 실현합니다.1. 개념 및 정의Chinese Wall 모델은 사용자에게 최초에는 어떤 정보든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지만, 일단 특정 회사(이해 상충 그룹)의 민감 정보에 접근하면, 같은 그룹 내의 다른 경쟁사 정보에는 접근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모델은 정보 분리 장벽(Wall)을 동적으로 형성하여, 이해 충돌을 사전에 차단하는..

Topic 2025.04.16

Take-Grant 모델

개요Take-Grant 모델은 컴퓨터 보안에서 권한의 생성, 이전, 위임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 그래프 기반의 접근 제어 모델입니다. 특히 시스템 내 객체 간의 **권한 흐름(Authorization Flow)**을 시각화하고, 권한이 어떻게 확산될 수 있는지를 정형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보안 정책의 설계, 검증 및 분석에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Take-Grant 모델은 시스템 내의 **주체(Subject)**와 **객체(Object)**를 노드로, 접근 권한을 엣지로 표현하는 그래프 구조를 사용합니다. 모델의 핵심은 ‘take(획득)’와 ‘grant(위임)’라는 두 가지 연산을 중심으로 권한 이동 경로를 정의하는 것으로, 권한이 특정 주체에게 어떻게 도달하는지를 명확히 분석..

Topic 2025.04.16

Lattice Model

개요Lattice 모델은 컴퓨터 보안에서 주체(사용자)와 객체(데이터) 간의 정보 흐름을 수학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는 보안 모델입니다. 특히 다중 보안 등급(Multi-Level Security, MLS) 환경에서 정보의 비인가 유출이나 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활용되며, 군사 및 정부 시스템에서 많이 채택됩니다. 이 모델은 정보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동시에 통제하는 데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Lattice 모델은 **격자(Lattice)**라는 수학적 구조를 기반으로, 주체와 객체에 할당된 보안 등급 및 범주를 이용해 허용된 정보 흐름을 정의합니다. 주체는 자신의 보안 등급과 범주에 따라 상위 또는 하위 객체에 접근이 제한되며, 이는 정보 유출 또는 불필요한 정보 노출을 방지하는 데 사용됩..

Topic 2025.04.16

HBR 모델(Hirsch-Bishop-Ruzzo Model)

개요HBR 모델(Hirsch-Bishop-Ruzzo Model)은 시스템 내 주체(Subject)가 객체(Object)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동적으로 제한하는 최소 권한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 기반의 접근 제어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전통적인 정적 권한 제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설계되었으며, 특히 **사용자의 작업 맥락(Context)**에 따라 권한을 정밀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HBR 모델은 사용자(주체)가 어떤 **프로그래밍 환경(Execution Context)**에서, 특정 **객체(리소스)**에 접근을 시도할 때, 해당 주체가 속한 **권한 집합(Rights Set)**을 평가하여 접근을 허용 또는 거부합니다. 이를 통해 ..

Topic 2025.04.16

Clark-Wilson Model

개요Clark-Wilson 모델은 기업 환경에서 정보의 무결성(Integrity) 보장을 중심으로 설계된 보안 모델로, 단순한 등급 기반 제어가 아닌 업무 흐름(workflow) 기반의 정책을 중심으로 접근 통제를 정의합니다. 상업적 비즈니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조작이나 사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현실적인 제어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것이 특징입니다.1. 개념 및 정의Clark-Wilson 모델은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업무 분리(separation of duty), 인증된 접근(authenticated access), 무결성 제약(integrity constraints) 등의 원칙을 적용합니다. 단순한 사용자-파일 접근 모델을 넘어서, 허가된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데이터를 수정..

Topic 2025.04.16

Biba Model

개요Biba 모델은 정보 시스템에서 무결성(Integrity) 보장을 목적으로 설계된 대표적인 형식 보안 모델로, Bell-LaPadula 모델이 기밀성에 초점을 맞춘 것과는 반대로 정보의 정확성, 일관성,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금융, 제조, 의료와 같이 데이터 변조나 위조가 치명적인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접근 통제 모델입니다.1. 개념 및 정의Biba 모델은 1977년 Kenneth J. Biba가 제안한 것으로, 주체(사용자)와 객체(데이터)에 **무결성 등급(Integrity Level)**을 부여하여, 주체가 하위 무결성 데이터를 수정하거나 상위 무결성 데이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설계된 보안 모델입니다. 주요 목적은 데이터의 신뢰성 유지입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

Topic 2025.04.16

Bell-LaPadula Model

개요Bell-LaPadula 모델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정보의 기밀성(Confidentiality) 보장을 목적으로 설계된 **형식적 보안 모델(Formal Security Model)**로, 군사 및 정부 기관 등 보안 등급이 중요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사용자와 데이터 간의 접근을 수학적으로 통제함으로써 민감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는 데 특화된 보안 모델입니다.1. 개념 및 정의Bell-LaPadula(BLP) 모델은 1970년대 미국 MITRE 연구소에서 개발되었으며, 보안 주체(사용자)와 객체(데이터)에 **보안 등급(Security Level)**을 부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접근 제어를 수행합니다. 핵심은 데이터의 기밀성 보호로, 무단 열람(Read)을 방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Topic 2025.04.16

정보보호 준비도 평가(Information Security Readiness Assessment)

개요정보보호 준비도 평가는 기업이나 기관이 사이버 위협에 얼마나 대비되어 있는지를 진단하는 평가 제도로,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수준의 항목을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이를 통해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 역량을 강화함으로써, 실질적인 보안 투자와 체계적인 개선 전략 수립이 가능합니다.1. 개념 및 정의정보보호 준비도 평가는 조직의 정보보호 체계 전반을 진단하여 현재 수준을 수치화하고, 취약 영역을 도출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체계적인 진단 도구입니다. 보안 인프라뿐 아니라 정책, 조직, 교육, 기술, 사고 대응 등 전반적인 항목을 평가하며, 주로 자가 진단 또는 외부 전문가에 의해 수행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전반적 진단정책부터 기술까지 모든 보안 영역 평가ISMS 항목 기반 구..

Topic 2025.04.16

정보보호공시제도(Information Security Disclosure System)

개요정보보호공시제도는 기업이나 기관이 자사의 정보보호 활동 및 수준을 외부에 자율적으로 공개함으로써 보안 역량을 투명하게 알리고, 이용자 및 투자자에게 신뢰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정보보호를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게 하고, 보안 투자 유도 및 기업 간 선의의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정보보호공시제도는 기업이 정보보호 관련 정책, 조직, 예산, 사고 대응 현황 등을 자율적으로 작성하여 공시하는 제도로,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포털을 통해 공개됩니다. 이 제도는 기업의 보안 성숙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정보 접근권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자율 공시 기반법적 강제성 없이 자발적으로 공개민간 중심의 ..

Topic 2025.04.16

Digital Envelope

개요전자봉투(Digital Envelope)는 대칭키 암호와 공개키 암호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암호화 기법입니다. 대칭키의 빠른 암호화 속도와 공개키의 안전한 키 분배 기능을 동시에 활용하여, 민감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방식입니다. 이메일 보안, 파일 암호화, 전자지불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전자봉투는 평문 데이터를 대칭키로 암호화한 후, 이 대칭키를 수신자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함께 전송하는 구조입니다. 수신자는 자신의 개인키로 대칭키를 복호화하고, 해당 대칭키로 본문 데이터를 복호화함으로써 전체 메시지를 안전하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속도와 보안을 동시에 충족하는 이상적인 전송 방식으로 간주됩니..

Topic 2025.04.15

Digital Signature

개요전자서명(Digital Signature)은 전자 문서에 서명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문서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암호 기반 기술입니다. 법적 효력과 보안성을 동시에 갖추어 공공기관, 금융기관,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블록체인, 이메일 보안, 전자계약 등에서도 핵심적으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전자서명은 공개키 기반 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를 활용하여 생성되며, 서명자는 개인키로 문서에 서명하고 수신자는 공개키로 해당 서명의 진위 여부를 검증합니다. 이는 서명자의 신원 확인과 함께, 문서가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증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인증 기능서명자의 신원을 확인 가능비대면 거래에서도 활용 ..

Topic 2025.04.15

Grover Algorithm

개요Grover 알고리즘은 1996년 Lov Grover가 개발한 양자 알고리즘으로, 비정렬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값을 탐색하는 데 고전 알고리즘보다 훨씬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검색 문제에 대해 제곱근 수준의 성능 향상을 보이며, 대칭키 암호 시스템의 보안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1. 개념 및 정의Grover 알고리즘은 임의로 구성된 N개의 항목 중에서 목표 항목을 찾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고전적으로는 O(N)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Grover 알고리즘은 O(√N) 시간만에 해결 가능하여, 예를 들어 2^128의 키 공간을 가지는 AES의 보안 수준을 실질적으로 절반으로 낮출 수 있습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N의 계산 복잡도고전적 선형 탐색보다 획기적인 성능AES 보..

Topic 2025.04.15

Shor Algorithm

개요Shor 알고리즘은 1994년 수학자 Peter Shor가 제안한 양자 알고리즘으로, 고전 컴퓨터로는 불가능에 가까운 큰 수의 소인수 분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RSA와 같은 공개키 암호체계의 보안을 위협하며, 양자컴퓨팅이 실현될 경우 기존 보안 기술을 대체할 새로운 암호 체계의 필요성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됩니다.1. 개념 및 정의Shor 알고리즘은 양자컴퓨터가 제공하는 병렬성과 양자 푸리에 변환(Quantum Fourier Transform)을 활용하여 지수 시간 복잡도의 소인수 분해 문제를 다항 시간 내 해결할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로 인해 공개키 암호 체계의 근간인 '큰 수의 소인수 분해의 어려움'이라는 전제를 무력화시킵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

Topic 2025.04.15

Feistel Structure

개요Feistel 구조는 대칭형 블록 암호의 기본 설계 방식 중 하나로, DES(Data Encryption Standard)와 같은 고전적인 암호 알고리즘부터 현대의 다양한 암호 시스템에까지 널리 응용됩니다. 이 구조는 입력 데이터를 좌우로 나누고, 반복적인 라운드 함수를 통해 암호화하는 방식으로 강력한 보안성과 설계 유연성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Feistel 구조는 데이터를 두 부분으로 나누고, 한 쪽은 그대로 두면서 다른 쪽에 복잡한 함수를 적용한 뒤, 두 부분을 교환(swap)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과정은 여러 라운드에 걸쳐 반복되며, 최종적으로 암호문이 생성됩니다. 특징적으로 역함수를 구현하지 않아도 복호화가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2. 특징 특징 설명 비고 대칭 구조..

Topic 2025.04.15

SPN(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

개요SPN(Substitution-Permutation Network)은 대칭키 암호에서 널리 사용되는 구조로, 현대 블록 암호 알고리즘의 근간이 되는 설계 원리입니다. 대표적인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역시 SPN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SPN의 개념, 특징, 구성 요소, 기술적 요소, 장점, 실제 사례 및 고려사항 등을 상세히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SPN은 치환(Substitution)과 순열(Permutation)을 반복적으로 적용하여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구조입니다. Claude Shannon이 제안한 혼돈(confusion)과 확산(diffusion) 원칙을 실현하는 데 효과적인 방식으로, 각 라운드를 통해 데이터의 보안성을 ..

Topic 2025.04.15

보안 부채(Security Debt)

개요보안 부채(Security Debt)는 기술 부채(Technical Debt)의 개념을 보안 관점으로 확장한 용어로, 보안적으로 ‘해야 할 일을 미룬 결과’로 누적된 위험 요소를 의미합니다. 개발 초기 또는 운영 과정에서 보안 요구사항을 간과하거나, 긴급한 일정 또는 리소스 부족으로 인한 보안 설계 부실, 패치 미적용, 검증 생략 등이 쌓여 장기적으로 조직에 큰 리스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 보안 부채의 정의와 특성 항목 설명 정의보안 취약점, 미적용 정책, 설계상 결함 등 해결되지 않은 보안 문제의 누적 상태원인일정 우선, 비용 절감, 인력 부족, 보안 역량 부재 등형태미적용 패치, 약한 인증, 불완전한 로깅, 암호화 미구현 등결과해킹, 랜섬웨어 침입, 내부 유출 등으로 현실화되어 수십 배의 ..

Topic 2025.04.14

스트림 암호화(Stream Cipher)

개요스트림 암호화(Stream Cipher)는 데이터를 비트 또는 바이트 단위로 연속적으로 암호화하는 방식의 대칭키 암호 기술입니다. 블록 단위로 처리하는 블록 암호와 달리, 실시간성, 경량성, 전송 지연 최소화가 중요한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스트림 암호의 개념, 대표 알고리즘, 블록 암호와의 차이점, 실무 적용 분야와 주의사항을 설명합니다.1. 스트림 암호화의 개념과 구조스트림 암호화는 난수처럼 생성된 키스트림(Keystream)을 원문 데이터와 XOR 연산하여 암호문을 생성합니다. 키스트림은 동기식 또는 비동기식 방식으로 생성되며, 스트림 암호화는 순차적 암호화, 빠른 처리 속도, 패딩 불필요가 특징입니다. 요소 설명 키(Key)암호화/복호화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비밀키초기화 벡터(..

Topic 2025.04.14

블록 암호화 운영 모드(Block Cipher Modes of Operation)

개요블록 암호화는 일정 크기의 데이터 블록을 암호화하는 방식이지만, 실제 보안 환경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고유한 요구사항에 대응해야 합니다. 이 때 블록 암호화의 암호 방식과 보안 수준을 결정짓는 것이 바로 ‘운영 모드(Mode of Operation)’입니다. ECB, CBC, CTR, GCM 등 다양한 모드는 각각의 장단점과 보안 속성을 가지며,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야 합니다.1. 운영 모드의 개념과 필요성운영 모드는 블록 암호화 알고리즘(AES 등)을 확장하여 연속된 데이터 스트림이나 고유한 암호화 목적(무결성 보장 등)에 적합하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필요 이유 설명 블록 연결다중 블록 간의 암호화 연계 구조 필요보안 강화반복 패턴 제거, 무결성 검증 등 보완기능 확장스..

Topic 2025.04.14

블록 암호화(Block Cipher)

개요블록 암호화(Block Cipher)는 고정된 크기의 데이터 블록 단위로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대칭키 암호 방식입니다. DES, AES와 같은 표준 암호 알고리즘은 모두 블록 암호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운용 모드(ECB, CBC, CTR, GCM 등)와 함께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블록 암호의 구조, 대표 알고리즘, 운용 방식별 차이점, 보안 강점과 한계를 정리합니다.1. 블록 암호화의 개념블록 암호화는 입력 데이터를 정해진 블록 크기(예: 64비트, 128비트 등)로 분할한 후, 각 블록에 동일한 암호화 키를 사용해 순차적으로 암호화하는 방식입니다. 요소 설명 블록 크기데이터 분할 단위 (AES: 128비트 고정)키 길이암호화에 사용되는 비밀키 길이 (예: AES-256은 256비..

Topic 2025.04.14

암호화 보안 강도(Encryption Security Strength)

개요암호화 기술의 보안 강도는 암호 알고리즘 자체의 수학적 안정성뿐 아니라, 키 길이, 해시 충돌 가능성, 복호화 난이도, 양자 저항력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본 글에서는 AES, RSA, ECC 등의 주요 암호 알고리즘에 대한 보안 강도 분석과 양자 시대를 대비한 암호화 전략까지 포괄적으로 다룹니다.1. 암호화 보안 강도의 개념암호화의 ‘보안 강도(Security Strength)’는 다음 조건을 기반으로 평가됩니다: 요소 설명 키 길이(Key Size)가능한 키 조합 수, 브루트포스에 대한 저항력연산 복잡도알고리즘 해독에 필요한 연산량수학적 안정성알고리즘 구조의 이론적 취약 여부실제 공격 사례 유무취약점, 사이드채널 등 실전에서의 안정성양자 내성 여부(PQC)양자컴퓨터 등장 후에도 안전..

Topic 2025.04.14

암호화 기술(Encryption Technologies)

개요암호화는 정보보호의 가장 근본적인 수단으로, 데이터를 인가되지 않은 접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용을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개인정보 보호, 금융 거래, 통신 보안, 디지털 인증 등 거의 모든 보안 시스템에서 암호화는 필수적으로 적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암호화 기술의 개념, 종류, 알고리즘, 활용 사례와 최신 동향까지 정리합니다.1. 암호화의 개념 및 필요성암호화(Encryption)는 원문(plaintext)을 암호문(ciphertext)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며, 복호화(Decryption)는 반대로 암호문을 다시 원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목적 설명 기밀성 보장인가된 사용자만 데이터 열람 가능무결성 확보암호화와 해시 연계로 위변조 탐지 가능인증 지원디지털 서명을 통한 발신자 확인 가능비재현성전자..

Topic 2025.04.14

코드 난독화(Code Obfuscation)

개요코드 난독화(Code Obfuscation)는 소스 코드 또는 바이너리의 구조와 가독성을 인위적으로 복잡하게 만들어 리버스 엔지니어링, 악성 코드 분석, 무단 복제 및 공격을 방지하는 소프트웨어 보호 기술입니다. 특히 악성코드 은폐, 정적 분석 회피, DRM 보호 등 다양한 보안 목적에서 활용되며, 동시에 분석가 입장에서는 위협 탐지의 난이도를 높이는 주요 장애 요소입니다.1. 코드 난독화의 개념 및 목적코드 난독화는 실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코드의 의미나 구조를 왜곡하여 해석을 어렵게 만드는 기법입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목적 설명 보안 강화내부 알고리즘, 키, 인증 로직 보호역공학 방지리버싱 도구(Ghidra, IDA 등) 분석 차단지적재산권 보호코드 도용·재사용 방..

Topic 2025.04.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