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5/15 13

Link-Cut Tree

개요Link-Cut Tree는 동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트리 구조에서 효율적으로 경로 질의 및 갱신 연산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고급 트리 기반 자료구조입니다. Sleator와 Tarjan에 의해 1983년 제안된 이 자료구조는 splay tree를 기반으로 하며, 각 노드의 서브트리나 루트까지의 경로에 대해 로그 시간 내 연산을 지원합니다. Union-Find, Euler Tour Tree보다 더 복잡한 트리 동작이 필요한 알고리즘에 적합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Link-Cut Tree는 포레스트(트리들의 집합) 구조에 대해 노드 간 연결(Link), 분리(Cut), 경로 질의(Query), 경로 갱신(Update)을 동적으로 처리하는 트리 자료구조입니다.목적트리 구조가 변동하..

Topic 2025.05.15

OpenTitan

개요OpenTitan은 Google이 주도하고, ETH Zurich, Nuvoton, G+D 등 여러 기업과 학계가 참여하는 세계 최초의 오픈소스 RoT(Root of Trust) 프로젝트입니다. 보안 칩 및 SoC(System-on-Chip) 영역에서 투명성과 검증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데이터 센터, 클라우드, IoT 디바이스 등 다양한 환경에서 하드웨어 수준의 신뢰 기반 보안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OpenTitan은 하드웨어 기반 보안 루트를 오픈소스로 구현한 프로젝트로, 부트 검증, 키 관리, 암호 연산 등 보안의 시작점 역할을 수행하는 칩 설계입니다.목적투명하고 감사 가능한 보안 하드웨어 구현으로 신뢰성 확보필요성폐쇄형 보안 칩의 불투명성..

Topic 2025.05.15

hICN (Hybrid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개요hICN(Hybrid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은 전통적인 IP 기반 네트워크에서 이름 기반 통신(Name-Based Networking)의 장점을 통합하여, 콘텐츠 중심 데이터 전달과 기존 IP 호환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네트워킹 아키텍처입니다. Cisco에서 주도적으로 개발되었으며, ICN(Information-Centric Networking)의 핵심 아이디어인 ‘데이터 이름’을 기반으로 한 전송 방식을 기존 IPv6 및 TCP/IP 인프라 위에서 실현함으로써, 현실적인 도입이 가능한 ICN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hICN은 IPv6 헤더 확장을 활용하여 콘텐츠 이름을 네트워크 계층에서 직접 처리하고, 기존 IP 네..

Topic 2025.05.15

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 v2

개요QUIC(Quick UDP Internet Connections)는 Google이 개발하고 IETF가 표준화한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HTTP/3의 기반 기술로 사용됩니다. QUIC v2는 기존 QUIC(v1)의 성능과 보안성을 강화한 차세대 버전으로, 암호 알고리즘 호환성, 트래픽 분석 대응, 다중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유연성 향상 등을 주요 목표로 합니다. 특히 TLS 1.3 기반의 암호화 통신과 멀티플렉싱 기능은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향후 양자 내성 암호화(Post-Quantum Cryptography)에 대비하는 구조적 전환점이기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QUIC v2는 기존 QUIC의 단점을 개선하고 향후 보안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계된 IETF 전송 프로토콜입니다.목..

Topic 2025.05.15

Stateless Reset

개요Stateless Reset은 QUIC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보안 중심의 연결 종료 방식으로, 서버가 세션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종료할 수 있도록 설계된 메커니즘입니다. 이는 연결 정보가 만료되었거나 세션이 예기치 않게 종료되었을 때 리소스를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연결을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특히 DDoS 대응, 리소스 최적화, 보안성을 고려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Stateless Reset은 서버가 세션 상태 정보를 보존하지 않고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패킷에 대해 암호화된 ‘리셋 토큰’을 반환함으로써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입니다.목적세션 상태가 사라진 상황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연결을 정리..

Topic 2025.05.15

Kubernetes Operator SDK

개요Kubernetes Operator SDK는 Kubernetes 클러스터 내에서 상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운영, 복구할 수 있는 Operator를 쉽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표준 툴킷입니다. 쿠버네티스의 CRD(Custom Resource Definition)와 컨트롤러 패턴을 기반으로 하며, Go, Ansible, Helm 세 가지 방식으로 Operator를 개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라이프사이클을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Kubernetes Operator SDK는 사용자 정의 리소스(CR)와 컨트롤러를 손쉽게 개발·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CLI 기반 개발 프레임워크입니다..

Topic 2025.05.15

Rate-Limiter 패턴

개요Rate-Limiter 패턴은 클라이언트 또는 요청 단위로 호출 빈도를 제한하여 시스템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보장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API Gateway, 백엔드 서버, 인증 시스템 등 다양한 위치에서 적용되며, DDoS 대응, API 남용 방지, QoS 유지 등 현대 웹 서비스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Rate-Limiter는 지정된 시간 간격 내에 수용 가능한 최대 요청 수를 제한하는 시스템 보호 메커니즘입니다.목적트래픽 폭주로 인한 시스템 성능 저하 방지 및 공정한 리소스 배분필요성과도한 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서버 과부하, 비용 증가, 보안 위협 대응 필요Rate-Limit..

Topic 2025.05.15

Mob Programming

개요Mob Programming은 개발 팀 전체가 한 공간(또는 원격 환경)에서 하나의 컴퓨터로 하나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개발 방식입니다. 전통적인 페어 프로그래밍(Pair Programming)을 확장한 형태로, 개발자뿐 아니라 디자이너, 테스터, PO 등 다양한 역할이 한 팀으로 코딩, 리뷰, 테스트, 설계, 문서화를 실시간으로 공동 수행합니다. 이 방식은 코드 품질 향상, 팀 역량 공유, 결함 감소 등의 효과를 통해 집단 지성 기반의 개발 문화를 만들어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Mob Programming은 하나의 작업을 위해 팀 전체가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장소에서 하나의 키보드로 협력 개발하는 방식입니다.핵심 구성Driver(입력 담당자), Navigators(의사결정자들..

Topic 2025.05.15

Delta Sharing

개요Delta Sharing은 다양한 플랫폼 간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 소스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입니다. Databricks에서 주도하여 개발되었으며, Delta Lake 포맷을 기반으로 하되 Apache Arrow, Parquet 등의 오픈 포맷과 호환되는 구조로, 조직 간 실시간 데이터 협업과 분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데이터 레이크에서 직접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복잡한 ETL, 복사 작업 없이 효율적인 데이터 활용이 가능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Delta Sharing은 오픈 포맷 데이터를 다양한 클라이언트와 안전하게 공유하기 위한 REST 기반 프로토콜입니다.목적플랫폼, 언어, 클라우드 환경과 무관한 안전하고 통합된 데이터 공유 실현필요성사일로..

Topic 2025.05.15

Agile Fluency Model

개요Agile Fluency Model은 팀의 애자일 실천 역량과 조직의 투자 수준을 기준으로 애자일 팀이 어떤 가치를 언제,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James Shore와 Diana Larsen이 2012년 발표한 이 모델은 팀의 목표와 현황을 기반으로 애자일 개선 전략을 도출하는 데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이 모델은 ‘1단계 성숙 모델’이 아닌, 다차원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코칭 및 조직 설계 도구입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Agile Fluency Model은 애자일 팀의 행동 역량(Fluency)과 조직이 제공하는 지원 수준을 기준으로 4단계의 성숙도를 정의한 모델입니다.목적팀의 현재 위치를 평가하고, 달성 가능한 애자일 목표 수준을 명..

Topic 2025.05.15

IT-CMF (IT-Capability Maturity Framework)

개요IT-CMF(IT-Capability Maturity Framework)는 조직의 IT 기능이 비즈니스 가치 창출에 얼마나 기여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IT 역량 성숙도 모델입니다. Innovation Value Institute(IVI)에서 개발된 이 프레임워크는 전략, 혁신, 리스크, 비용, 운영 등 다양한 측면에서 IT 역량을 5단계 성숙도로 진단하며, 디지털 전환 시대에 IT를 전략적 가치 실현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 접근법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IT-CMF는 IT 조직의 36개 핵심 역량(Critical Capabilities)을 중심으로 성숙도를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역량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목적IT 기능의 비즈니스 정렬도, 효율성..

Topic 2025.05.15

GQM+Strategies

개요GQM+Strategies는 기존 GQM(Goal-Question-Metric) 모델을 확장하여 조직의 비즈니스 목표와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활동을 정렬하는 전략적 품질 관리 프레임워크입니다. 단순한 프로젝트 성과 측정을 넘어, 기업의 전략적 목표와 그 하위 목표 간의 정합성, 영향 관계, 가정(Assumption)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GQM+Strategies는 조직 전반의 품질문화 정착 및 지속적 개선 기반을 마련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로 평가받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GQM+Strategies는 전략 목표, 전술 목표, 측정 목표 간의 계층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질문과 지표로 연결하는 조직 수준 품질 관리 모델입니다.목적전략과 실행을 연결하고,..

Topic 2025.05.15

GQM (Goal-Question-Metric)

개요GQM(Goal-Question-Metric) 모델은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및 프로젝트 성과 평가를 위해 목표(Goal)를 설정하고, 그 목표에 대한 질문(Question)을 정의한 후,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수치화할 수 있는 지표(Metric)로 연결하는 체계적 품질 관리 방법론입니다. NASA, Siemens, IBM 등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품질 관리에 광범위하게 적용된 바 있으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해주는 근거 기반 관리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GQM은 소프트웨어 품질 및 성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목표(Goal), 질문(Question), 지표(Metric)를 계층적으로 정의하는 모델입니다.목적명확한 목표 설정 및 측정 가능성을..

Topic 2025.05.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