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5/27 14

Playbook-as-Code

개요보안 사고 대응은 정확성과 속도가 생명입니다. 하지만 수동적 대응 방식은 반복성과 확장성에 한계를 가지며, 다양한 위협 상황에 일관된 대응을 보장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보안 대응 절차를 코드로 정의하여 자동화 및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Playbook-as-Code(PaC) 개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PaC의 개념, 구성, 기술 스택, 장점, 적용 사례 등을 체계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Playbook-as-Code(PaC)**는 SOAR(Security Orchestration, Automation and Response) 환경에서 보안 대응 절차를 코드(YAML, Python 등)로 정의하여, 자동화된 실행과 반복 가능한 대응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방법론입니다...

Topic 2025.05.27

Response-as-Code

개요현대의 사이버 위협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며, 수작업에 의존한 대응은 속도와 정확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Response-as-Code(RaC) 개념이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보안 대응 프로세스를 코드화하여 자동화된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전략입니다. RaC는 DevSecOps의 핵심 요소로, 탐지 이후의 대응까지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Response-as-Code(RaC)**는 보안 이벤트 발생 시 수행할 대응 절차를 코드로 정의하여, SOAR 플랫폼 또는 자동화 프레임워크를 통해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대응 절차를 표준화하고, 테스트 가능하며, 반복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목적: 보안 사고 발생 시..

Topic 2025.05.27

Detection-as-Code

개요오늘날 사이버 보안 환경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탐지 규칙도 빠르게 업데이트되고 유지되어야 합니다. Detection-as-Code(DaC)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으로, 탐지 규칙을 코드로 정의하여 DevSecOps 파이프라인과 통합하고 자동화된 보안 탐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글에서는 Detection-as-Code의 개념, 주요 특징, 기술 구성, 장점 및 실제 활용 사례를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Detection-as-Code(DaC)**는 보안 탐지 규칙을 YAML, JSON 등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포맷으로 코드화하여 Git 기반 형상관리 및 CI/CD 파이프라인을 통해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DevOps 문화에서 파생된 'Eve..

Topic 2025.05.27

SOC-as-Code(Security Operations Center as Code)

개요보안 운영센터(SOC)는 기업 정보보안의 중추 역할을 하지만, 전통적인 SOC 운영은 많은 인력과 수작업 중심의 대응으로 인해 복잡성과 운영 비용이 높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SOC-as-Code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코드 기반으로 보안 운영을 자동화하고 DevSecOps 환경에 자연스럽게 통합함으로써, 효율성과 민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1. 개념 및 정의SOC-as-Code란 기존의 보안 운영 프로세스를 코드화하여 인프라처럼 선언적 방식으로 관리하고 자동화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Infrastructure as Code(IaC)처럼, 정책, 탐지 규칙, 대응 플로우 등을 코드로 관리함으로써 보안 운영의 재현성, 확장성, 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목..

Topic 2025.05.27

OpenSSF Package-Analysis

개요최근 오픈소스 공급망 공격이 급증하면서, 신뢰할 수 있는 패키지 보안 시스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OpenSSF의 Package-Analysis 프로젝트는 공개 소프트웨어 저장소에 등록되는 패키지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악성 행위를 탐지하고,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글에서는 해당 프로젝트의 개념, 특징, 구성 요소, 기술적 구조, 기대 효과 및 활용 사례를 심층적으로 소개합니다.1. 개념 및 정의OpenSSF Package-Analysis는 GitHub의 OpenSSF(Open Source Security Foundation)에서 주도하는 프로젝트로, npm, PyPI, RubyGems 등의 오픈소스 패키지 저장소에 업로드된 신규 패키지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잠재적 보안 위협 ..

Topic 2025.05.27

Debezium Event-Driven ETL

개요Debezium은 Apache Kafka 기반의 오픈소스 CDC(Change Data Capture) 플랫폼으로, 데이터베이스의 변경사항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이벤트로 스트리밍함으로써 Event-Driven ETL의 핵심 엔진으로 활용됩니다. 기존 배치 기반 ETL과 달리 데이터 변경 이벤트 발생 시 즉각적으로 데이터 흐름을 유도할 수 있어, 마이크로서비스, 데이터 웨어하우스, 실시간 분석에 이상적인 구조를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DB 트랜잭션 로그를 감지하여 변경 이벤트를 Kafka 스트림으로 전달하는 CDC 플랫폼핵심 역할데이터 변경 추적 → 이벤트 발행 → 후속 시스템으로 스트리밍데이터 흐름 구조Source DB → Debezium Connector → Kafka → Co..

Topic 2025.05.27

DVC (Data Version Control)

개요DVC(Data Version Control)는 Git과 통합되어 작동하는 오픈소스 데이터 버전 관리 툴로, 머신러닝 및 데이터 사이언스 프로젝트의 데이터, 모델, 파이프라인을 체계적으로 버전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코드뿐 아니라 대규모 데이터와 실험 결과까지 추적할 수 있어, ML reproducibility와 협업을 크게 향상시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Git과 유사한 방식으로 대용량 데이터 및 모델 파일을 버전 관리할 수 있는 CLI 기반 도구목적데이터 및 ML 파이프라인 재현성 확보 및 협업 지원연동 시스템Git, S3, GCS, Azure, SSH, HTTP 등 다양한 리모트 저장소DVC는 데이터가 Git에 직접 저장되지 않고, Git은 메타데이터만 추적하는 구조입니다.2...

Topic 2025.05.27

lakeFS

개요lakeFS는 데이터레이크를 위한 오픈소스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Git과 유사한 브랜치 및 커밋 기능을 지원하여 대규모 데이터 작업의 신뢰성과 재현성을 보장합니다. 데이터 엔지니어와 사이언티스트는 코드처럼 데이터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실험과 배포 과정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객체 저장소(S3, GCS 등) 위에서 데이터 버전 관리를 제공하는 시스템목적데이터 변경을 추적 가능하게 하고, 안전한 실험 및 롤백 환경 제공주요 특징커밋, 브랜치, 머지, 리버트 등 Git과 유사한 기능 지원lakeFS는 데이터 신뢰성과 거버넌스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2. 특징특징설명기대 효과브랜치 기반 워크플로우데이터 환경을 코드처럼 관리실험/운영..

Topic 2025.05.27

OTLP (OpenTelemetry Protocol)

개요OTLP(OpenTelemetry Protocol)는 OpenTelemetry 프로젝트의 핵심 구성요소로, 분산 추적(Trace), 메트릭(Metrics), 로그(Logs) 데이터를 통합 형식으로 전송하는 표준화된 텔레메트리 프로토콜입니다. 데이터 수집기(Agent), Collector, 백엔드 간 상호운용성을 강화하며, 다양한 관측 시스템에서 통일된 데이터 흐름을 가능하게 합니다.1. 개념 및 정의항목설명정의Telemetry 데이터를 수집기 → Collector → Backend로 전송하는 gRPC/HTTP 기반 프로토콜포함 데이터Traces, Metrics, Logs다양한 텔레메트리 소스를 통합 기반 기술Protocol Buffers (protobuf) 기반 직렬화 포맷OTLP는 JSON보다 더 ..

Topic 2025.05.27

OpenTelemetry Collector

개요OpenTelemetry Collector는 분산 시스템의 로그, 메트릭, 트레이스 데이터를 통합 수집하고 전처리하여 다양한 관측(Observability) 백엔드로 전송하는 컴포넌트입니다. 표준화된 수집 파이프라인을 제공하며, 에이전트 및 게이트웨이 형태로 모두 배포 가능하여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하이브리드 환경을 아우르는 유연한 인프라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OpenTelemetry 데이터(Trace, Metrics, Logs)를 수집, 변환, 내보내는 플러그인 기반 컴포넌트배포 방식Agent(호스트별) 또는 Gateway(중앙 집중형) 모드역할데이터 수집 → 전처리 → 백엔드로 전달Collector는 벤더 중립적이며 다양한 포맷(OpenMetrics, Jaeg..

Topic 2025.05.27

On-Device Federated Analytics

개요On-Device Federated Analytics는 데이터를 사용자 기기 내에서 분석하고, 서버에는 통계적 결과만 업로드하는 분산형 데이터 분석 방식입니다. 중앙집중형 서버로 원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가 뛰어나며, 데이터 규제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사용자 단말기에서 로컬 분석을 수행하고, 통계 처리된 결과만 서버로 전송하는 분석 기법핵심 개념Raw data는 로컬에 보존, Aggregated data만 공유연관 기술Federated Learning, Differential Privacy, Edge AI이 기법은 Google, Apple 등 글로벌 기업들이 모바일 OS에 탑재하며 적극적으로 도입 중입니다.2..

Topic 2025.05.27

OpenUSD (Universal Scene Description)

개요OpenUSD(Universal Scene Description)는 Pixar가 개발하고, NVIDIA, Apple, Autodesk, Adobe, Unity 등 주요 3D 생태계 기업들이 공동 지원하는 개방형 프레임워크입니다. 복잡한 3D 장면(Scene)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여 산업 전반의 3D 콘텐츠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 항목 설명 정의복합 3D 장면 표현, 공유, 상호운용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 교환 및 표현 프레임워크주요 목적대규모 3D 자산의 표현 일관성 확보 및 협업 최적화주도 조직Pixar 개발, Alliance for OpenUSD(AOUSD) 주도 관리OpenUSD는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영화 CG, 게임 등 다양한 3D 응용 분야..

Topic 2025.05.27

NR RedCap (Reduced Capability NR)

개요NR RedCap(Reduced Capability NR)은 3GPP Release 17에서 정의된 5G 기술로, 기존 eMBB 단말 대비 단순화된 하드웨어 사양과 낮은 전력 소모를 기반으로 저가형 경량 단말에 최적화된 5G 솔루션입니다. 스마트워치, 산업용 센서, 의료기기, AR/VR 장치처럼 중간 수준의 데이터 속도만 필요한 기기군을 타겟으로 하며, 5G 기술의 대중화와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5G NR(New Radio)의 경량화된 단말 사양 (Low-complexity UE Category)도입 목적저전력, 저비용, 소형 디바이스에서도 5G 접속 제공적용 규격3GPP Release 17 NR Light Category (Cat. A, Cat. B 등..

Topic 2025.05.27

Two-Phase Immersion Liquid Cooling

개요Two-Phase Immersion Liquid Cooling(2단계 침지 액체 냉각)은 고성능 컴퓨팅 장비(HPC, AI 서버 등)를 전기적으로 비활성화된 특수 냉각액에 직접 담그고, 냉각액이 열에 의해 증발하고 다시 응축되는 과정을 통해 열을 제거하는 고효율 열관리 기술입니다. 고열이 발생하는 칩을 직접 식히기 때문에 기존 공랭식 대비 탁월한 냉각 효과를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설명 정의냉각 액체가 기화(1차 단계) 후 응축(2차 단계)을 반복하며 서버를 냉각하는 방식핵심 원리칩의 열로 냉각액이 증발 → 열 전달 → 응축 후 다시 액상으로 복귀주요 용도데이터센터, AI/ML 가속기, 엣지 서버, 전력 집약적 반도체 장치액체는 일반적으로 3M Novec, Fluorinert 등의 절연..

Topic 2025.05.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