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Topic 1962

dbt Semantic Layer

개요dbt Semantic Layer는 데이터 분석 도구와 BI 툴에서 일관된 정의와 지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추상화 계층입니다. 데이터 모델링과 분석 간의 간극을 해소하고, 모든 사용자가 동일한 의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정의된 단일 진실(SSOT, Single Source of Truth)’을 구현합니다. 이는 데이터 품질 및 조직 전반의 의사결정 신뢰도를 극적으로 향상시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dbt Semantic Layer는 dbt에서 정의한 모델, 지표, 엔티티 등을 추상화하여 다양한 분석 도구에서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계층입니다.목적데이터 정의와 의미의 일관성을 보장하고, 분석 환경 간 연결성을 제공합니다.필요성각 도구마다 ..

Topic 2025.06.05

Column-Level Data Lineage

개요Column-Level Data Lineage는 데이터 계보 추적(Data Lineage) 중에서도 컬럼 단위까지 데이터를 추적하여, 데이터가 어떻게 생성·변환·활용되는지를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법입니다. 데이터 신뢰성과 규제 준수, 오류 추적 및 품질 관리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 및 분석 시스템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 헬스케어, 제조 등 데이터 품질이 비즈니스에 직결되는 산업에서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Column-Level Data Lineage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내 특정 컬럼 단위로 데이터의 흐름과 연산 과정을 추적하는 기능입니다.목적데이터 품질 관리, 거버넌스, 컴플라이언스를 위한 상세한 추적 정보 확보가 목적입니다.필요..

Topic 2025.06.04

SRv6(IPv6 Segment Routing)

개요SRv6(IPv6 Segment Routing)은 IPv6 네트워크 상에서 유연하고 강력한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가능하게 하는 최신 기술입니다. SRv6 Policy는 이러한 SRv6 환경에서 다양한 요구 기반의 경로 설정(Policy-based routing)을 통해 트래픽을 제어하고 최적화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특히 5G, 클라우드 네트워킹, 멀티도메인 환경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SRv6 Policy는 SRv6의 Segment Identifier(SID)를 활용하여 서비스 정책 기반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법입니다.목적특정 요구 사항(지연, 대역폭, 보안 등)에 따라 네트워크 경로를 유연하게 구성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필요성기존 MPLS 기반..

Topic 2025.06.04

Test Pyramid 모델

개요Test Pyramid 모델은 소프트웨어 테스트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제안된 계층적 테스트 전략입니다. 자동화 테스트를 세 가지 수준(단위 테스트, 서비스 테스트, UI 테스트)으로 나누어 각 계층의 목적과 비중을 명확히 함으로써 테스트 품질을 최적화합니다. 이 모델은 테스트 비용을 절감하고 피드백 사이클을 단축하는 데 효과적이며, Agile 및 DevOps 환경에서 특히 널리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Test Pyramid는 테스트를 단위(Unit), 서비스(Service), UI 레벨로 구분하여 각각의 적절한 비율과 목적을 설정하는 테스트 아키텍처 모델입니다.목적테스트 자동화를 계층화하여 높은 신뢰성과 빠른 피드백을 동시에 달성합니다.필요성UI 테스트에 집중될 경우..

Topic 2025.06.04

GitLab Flow

개요GitLab Flow는 Git 브랜칭 전략의 진화형으로, Git 기능 브랜치와 지속적 배포(Continuous Delivery)를 유기적으로 통합한 접근 방식입니다. 단순한 코드 관리 전략이 아닌, 개발부터 운영까지 전체 소프트웨어 라이프사이클을 고려한 실용적인 워크플로우입니다. GitLab을 사용하는 기업과 팀에 특히 적합하며, 민첩한 개발과 안정적인 운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 항목 내용 정의GitLab Flow는 기능 브랜치 전략과 환경 중심 배포를 통합한 Git 브랜칭 모델입니다.목적개발과 배포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운영 환경과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함입니다.필요성기존 Git Flow의 복잡성을 줄이고, 실제 운영 환경에 맞는 유연한 워크플로우가 필요합니다..

Topic 2025.06.04

CSA STAR(Security, Trust & Assurance Registry) Level 2

개요CSA STAR(Security, Trust & Assurance Registry) Level 2는 Cloud Security Alliance(CSA)에서 주관하는 클라우드 보안 인증 체계 중 하나로, 국제 기준에 따른 제3자 심사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보안 통제를 공식적으로 검증하는 등급입니다. ISO/IEC 27001을 기반으로 하며, **CSA CCM(Cloud Controls Matrix)**의 통제 항목을 포함한 외부 감사 보고서 제출 방식으로 투명성과 신뢰를 동시에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CSA STAR는 클라우드 보안 평가의 계층 구조로, Level 2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정의됩니다:기반 표준: ISO/IEC 27001 인증 보유가 전제 조건CCM 매핑 통제: ISO/I..

Topic 2025.06.04

MITRE CAPEC (Common Attack Pattern Enumeration and Classification)

개요MITRE CAPEC는 MITRE 기관이 주도하는 공격자 관점의 공격 패턴(Attack Patterns)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한 위협 인텔리전스 프레임워크입니다. CWE(소프트웨어 취약점), CVE(공격 대상 취약점)와 연계되며, 보안 설계, 공격 시뮬레이션, 위협 모델링, 보안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공격의 ‘전술(Tactic)’과 ‘기법(Technique)’을 이해하고 방어 전략을 설계하는 데 핵심 도구입니다.1. 개념 및 정의CAPEC는 사이버 공격자들이 사용하는 공격 수단과 시나리오를 고유 ID와 이름으로 분류하여 다음 정보를 제공합니다:CAPEC ID: 고유 공격 패턴 식별자 (예: CAPEC-66: SQL Injection)Attack Pattern: 공격자가 수행하는 ..

Topic 2025.06.04

CVSS v4.0 (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

개요CVSS(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는 IT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의 심각도를 수치로 정량화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CVSS v4.0은 2023년 발표된 최신 버전으로, 기존 v3.1의 한계를 보완하고 더 정교하고 현실적인 취약점 점수 산정을 가능하게 하는 체계입니다. 기업, 공공기관, 보안 솔루션에서 위험 우선순위 결정에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CVSS v4.0은 다음의 주요 측정 벡터로 구성됩니다:Base Metric Group: 취약점 자체의 기술적 특성Threat Metric Group (신설): 공격의 가능성과 실제 위협 정보 반영Environmental Metric Group: 조직별 자산 영향 반영Supplemental Metr..

Topic 2025.06.04

Digital & IT Strategy (DITS)

개요Digital & IT Strategy(DITS)는 조직의 비즈니스 목표와 디지털 역량을 연계하여 IT 운영의 방향성과 투자를 전략적으로 설계하는 체계적 접근 방식입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구성 요소로, IT 거버넌스, 서비스 혁신, 기술 투자 계획, 비즈니스 정렬 등을 포괄하며, ITIL 4 Specialist: DITS 인증 과정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DITS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관점으로 정의됩니다:디지털 전략: 고객 경험 혁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제품/서비스 디지털화IT 전략: IT 운영모델, 기술 로드맵, 아키텍처 설계, 거버넌스 체계 수립비즈니스-IT 정렬: 전략, 프로세스, KPI, 예산의 연계이는 단기 프로젝트 중심 IT 관리에서 벗어나 장기적 가치..

Topic 2025.06.04

OODA Loop

개요OODA Loop는 미 공군 전략가 존 보이드(John Boyd)가 제안한 빠르게 변화하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4단계 사고 모델입니다. Observe(관찰), Orient(상황 파악), Decide(결정), Act(행동)로 구성되며, 군사 전략, 경영 전략,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의사결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민첩성, 반복성, 우위 확보 전략의 핵심 도구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OODA Loop는 다음 4단계 순환 구조로 구성됩니다:Observe(관찰): 외부 환경, 상대, 내부 상태 등 데이터 수집Orient(상황 파악): 정보 해석, 맥락화, 문화·경험 기반 판단Decide(결정): 가능한 옵션 중 전략적 판단 수행Act(행동): 선택한 행동을 실행하고 결과를 다시 관..

Topic 2025.06.04

CASP (CompTIA Advanced Security Practitioner)

개요CASP(Certified Advanced Security Practitioner)는 CompTIA에서 제공하는 고급 보안 전문가를 위한 국제 인증으로, 전략적 사고 능력, 리스크 관리, 엔터프라이즈 보안 아키텍처 설계, 운영 기술(OT) 보안 등 보안 실무를 넘은 의사결정 및 리더십 능력을 검증하는 최고 수준의 보안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정보보호 컨설턴트, 보안 아키텍트, CISO 후보자 등에게 적합합니다.1. 개념 및 정의CASP+는 다음과 같은 영역에서 고급 보안 실무 및 정책 설계 능력을 인증합니다:엔터프라이즈 보안 아키텍처 설계: 하이브리드/멀티클라우드 환경 포함보안 운영 및 사고 대응: 모니터링, 탐지, 복구 절차 이해거버넌스, 리스크, 규제 준수: GDPR, NIST, ISO 27001..

Topic 2025.06.04

BIAN(Banking Industry Architecture Network)

개요BIAN(Banking Industry Architecture Network)은 금융 산업을 위한 서비스 기반 아키텍처 표준화 협회로, Service Landscape는 BIAN이 제시하는 핵심 프레임워크로써 은행 업무 기능을 표준 서비스 단위로 정의하여 재사용 가능한 아키텍처 구조를 제공합니다. 금융기관의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향상, 디지털 전환 가속화, 레거시 시스템 통합 등에 핵심적인 기준 역할을 합니다.1. 개념 및 정의BIAN Service Landscape는 BIAN의 전체 Reference Architecture에서 은행 비즈니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도메인을 기능별로 계층화한 아키텍처 지도입니다.서비스 도메인(Service Domain):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단일 목적의 업무 기능 (예: ..

Topic 2025.06.04

ISO/IEC 42010 (Architecture Description)

개요ISO/IEC 42010은 시스템 또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명확하게 기술하고 이해관계자 간 소통을 구조화하기 위한 국제 표준입니다. 다양한 관점(Viewpoint)을 통해 아키텍처를 다면적으로 설명하며, 복잡한 시스템 설계 및 분석 과정에서 명확한 표현, 추적 가능성, 상호 이해를 촉진합니다. 기업 아키텍처, 시스템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설계 등 여러 분야에서 핵심 지침으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ISO/IEC 42010은 아키텍처를 다음의 핵심 개념으로 정의합니다:Architecture: 시스템의 구성 요소, 이들 간의 관계, 설계 원리 등으로 구성된 구조Architecture Description (AD): 아키텍처를 문서화하는 산출물View: 특정 이해관계자의 관심사에 맞춰 아키텍처를 ..

Topic 2025.06.04

HEART Framework

개요HEART Framework는 Google의 UX 리서치 팀이 제안한 사용자 경험(UX)을 정량적·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5가지 핵심 지표 체계입니다. Happiness, Engagement, Adoption, Retention, Task Success의 약자로, 제품의 UX 성숙도와 개선 우선순위를 수립하는 데 효과적인 구조입니다.1. 개념 및 정의HEART는 다음과 같은 5개의 지표로 구성되며, 제품의 전체 또는 특정 기능 수준에서 적용이 가능합니다:Happiness: 사용자 만족도 (정성/설문 기반)Engagement: 사용 빈도, 활동 수준 (행동 기반)Adoption: 신규 사용자/기능 도입률Retention: 재방문, 재사용 유지율Task Success: 완료율, 오류율, 시..

Topic 2025.06.03

Runbook Automation (RBA)

개요Runbook Automation(RBA)은 IT 운영팀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작업 절차(runbook)를 자동화된 프로세스로 전환하여 효율성, 일관성, 속도를 향상시키는 자동화 프레임워크입니다. 장애 대응, 인프라 운영, 계정 관리 등 다양한 IT 서비스 프로세스를 사람이 개입하지 않거나 최소한의 승인만으로 자동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1. 개념 및 정의Runbook은 시스템 운영 중 발생하는 이벤트나 요청에 대응하기 위한 사전 정의된 표준 작업 시나리오입니다. RBA는 이를 스크립트, 워크플로우, 조건부 로직 등으로 자동화합니다.Event-driven 자동화 가능 (예: CPU 알람 발생 시 자동 리소스 증가)Manual → Semi-Auto → Full-Auto 단계별 확장 가능ITSM, ..

Topic 2025.06.03

Business Glossary

개요Business Glossary는 조직 내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용어와 비즈니스 개념을 표준화하여 정의하고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관리 체계입니다. BI, 데이터 거버넌스, 데이터 품질 관리의 핵심 구성요소로, 부서 간 용어 해석 차이를 줄이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Business Glossary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메타데이터 자산입니다:데이터 정의 표준화: 용어의 의미, 산출 방식, 단위, 출처 등 명시비즈니스 중심 용어 관리: 기술 용어가 아닌 업무 사용자 관점 기준 정리데이터 거버넌스 체계화: 데이터 오너십, 책임자, 승인 절차 포함이는 기술적 데이터 사전(Data Dictionary)과는 달리 업무 중심 용어 관리에 초점을 둡..

Topic 2025.06.03

IEC 61850 (Station Bus)

개요IEC 61850은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국제 표준 통신 프로토콜로, 스테이션 버스(Station Bus)는 그 중 IED(지능형 전자장치) 간의 고속 디지털 통신을 담당하는 핵심 구조입니다. 기존 아날로그 배선 방식을 대체하며, 디지털 변전소 구현, 운영 효율성, 상호 운용성, 유지보수 간소화 등의 이점을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IEC 61850의 Station Bus는 IED와 HMI, 보호 계전기, 제어 장치 간 상태, 명령, 이벤트 등의 정보 교환을 위한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입니다.스테이션 버스: 계전기, 제어기, HMI 간 통신 (상위 계층)프로세스 버스와 구분: 센서, 트랜스듀서와 IED 간 실시간 측정값 송수신 담당GOOSE, MMS 프로토콜 사용: 빠른 이벤트 기반 전송 지..

Topic 2025.06.03

FinOps Maturity Model

개요FinOps Maturity Model은 조직의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 및 재무 운영 체계를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개선 단계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성숙도 기반 프레임워크입니다. FinOps Foundation에서 정의한 이 모델은 조직이 재무, 엔지니어링, 운영 부서 간 협업을 통해 클라우드 소비를 제어하고 비즈니스 가치 중심으로 지출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1. 개념 및 정의FinOps(Cloud Financial Operations)는 DevOps, Finance, Business 팀이 협력해 클라우드 지출을 책임감 있게 관리하는 운영 모델입니다. 성숙도 모델은 다음 3단계로 구성됩니다:Inform: 클라우드 소비 가시화, 실시간 비용 인식Optimize: 자원 최적화, 낭비 식별, ..

Topic 2025.06.03

ISO 50001 (DC Energy Mgmt)

개요ISO 50001은 에너지 성과 향상을 위한 국제 표준 에너지 경영 시스템(EnMS)으로, 조직의 에너지 사용량을 체계적으로 측정·분석하고 개선을 유도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데이터센터(DC, Data Center) 분야에서는 전력 사용량(PUE), 냉각 효율, 운영비 절감, 탄소 배출량 저감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운영을 위한 핵심 기준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ISO 50001은 에너지 정책을 기반으로 에너지 소비 패턴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PDCA(Plan-Do-Check-Act) 사이클 구조의 관리 시스템입니다.Plan: 에너지 베이스라인 수립 및 목표 설정Do: 에너지 효율 향상 프로젝트 실행Check: 성과 측정 및 내부 감사Act: 이행 성과 기반 재설계 및 지속적 개선데이터..

Topic 2025.06.03

DPM (Digital Performance Management)

개요DPM(Digital Performance Management)은 디지털 시스템, 사용자 경험, 비즈니스 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개선하는 통합 성과 관리 체계입니다.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의 기술 기반에 고객 여정, 전환율, 속도, 장애율, 운영 KPI까지 포괄하는 접근 방식으로, 디지털 비즈니스 운영 전반의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1. 개념 및 정의DPM은 디지털 채널(Web, App, API 등)에서 발생하는 성능 지표와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운영, 고객 경험, 비즈니스 결과를 실시간으로 연결합니다.통합 데이터 수집: 시스템 + 사용자 + 비즈니스 레이어 결합실시간 분석 및 가시화: 대시보드, ..

Topic 2025.06.03

Dual-Track Agile

개요Dual-Track Agile은 제품의 ‘무엇을 만들 것인가’(Product Discovery)와 ‘어떻게 만들 것인가’(Product Delivery)를 병렬로 진행하는 애자일 개발 전략입니다. 기존의 개발 중심 프로세스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문제를 먼저 파악하고 유효한 솔루션을 빠르게 탐색하여 리스크를 줄이는 데 초점을 둡니다. 빠른 피드백 루프와 팀 간 협업을 중심으로 제품 가치 실현을 가속화합니다.1. 개념 및 정의Dual-Track Agile은 다음 두 개의 병렬 트랙으로 구성됩니다:Discovery 트랙: 고객 문제, 아이디어 검증, 프로토타이핑, 실험 수행Delivery 트랙: 확인된 기능의 구현, 배포, 품질 관리두 트랙은 독립적이지만 상호작용하며, 제품 목표에 따라 동기화되고 지속적으..

Topic 2025.06.03

Confidential Ledger

개요Confidential Ledger는 **신뢰 실행 환경(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과 블록체인 기반 원장 기술을 결합하여, 변경 불가능하고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고신뢰 데이터 저장소를 구현하는 보안 아키텍처입니다. 정부, 금융, 헬스케어 등 민감한 데이터가 요구되는 환경에서 데이터 무결성과 기밀성, 투명한 감사 기능을 동시에 제공합니다.1. 개념 및 정의Confidential Ledger는 신뢰할 수 있는 하드웨어 기반에서 실행되는 원장 서비스로 다음을 특징으로 합니다:Immutable Ledger: 쓰기 전용, 수정 불가한 데이터 구조Confidential Computing 기반: Intel SGX 등 TEE 내에서 데이터 처리Tamper-proof Audi..

Topic 2025.06.03

KubeFed(Kubernetes Federation)

개요KubeFed(Kubernetes Federation)은 다수의 Kubernetes 클러스터를 하나의 논리적 단위처럼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글로벌 멀티클러스터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 배포, 네임스페이스, 리소스 동기화를 중앙화하여 일관성과 운영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엣지 클러스터 간 통합 운영에 이상적인 도구입니다.1. 개념 및 정의KubeFed는 중앙 제어 플레인을 통해 다수 클러스터에 대해 리소스를 일괄 정의 및 배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Federation: 여러 클러스터 간 리소스 복제 및 정책 통합Template + Placement + Overrides 모델: 선언적 리소스 관리 모델 적용다중 클러스터 동기화: 배포 자동화, 롤아웃..

Topic 2025.06.03

Zero-ETL

개요Zero-ETL은 기존의 Extract-Transform-Load(ETL) 파이프라인 없이 운영 데이터베이스와 분석 시스템 간의 실시간 통합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아키텍처입니다. 데이터 이동 및 중복 저장 없이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 머신러닝 등을 가능하게 하며, AWS, Google Cloud, Snowflake 등 다양한 클라우드 벤더들이 Zero-ETL 솔루션을 발표하며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Zero-ETL은 기존 ETL의 복잡성과 지연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데이터 추출·이동·적재 생략: 운영 DB와 분석 플랫폼 간 직접 연결CDC(Change Data Capture) 또는 스트리밍 기반 동기화중간 스토리지 없이 분석 시스템에 바로 반영이..

Topic 2025.06.03

Aurora Serverless v2

개요Aurora Serverless v2는 AWS에서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서버리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Aurora의 고성능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트래픽 변화에 따라 정밀하고 빠르게 자동 스케일링되는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제공합니다. 실시간 확장성과 비용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최신 데이터베이스 운영 모델로, 다양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합니다.1. 개념 및 정의Aurora Serverless v2는 애플리케이션의 부하에 따라 자동으로 처리 용량(ACU: Aurora Capacity Unit)을 조절하는 확장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Aurora 기반: MySQL, PostgreSQL 호환 고성능 RDBMSServerless 모드: 프로비저닝 필요 없이 용량 자동 조절v2 특징: 밀리초 ..

Topic 2025.06.03

Cilium Ambient

개요Cilium Ambient는 eBPF 기반의 서비스 메시 Cilium에서 제공하는 사이드카 없는(Service Mesh without Sidecar) 실행 모드입니다. 기존 Envoy 기반 사이드카 메커니즘이 갖는 성능 저하와 운영 복잡성을 해결하면서도, 보안, 정책 제어, 가시성 같은 서비스 메시 기능을 간결하고 고성능 방식으로 구현합니다. 쿠버네티스 환경의 네이티브 통합과 함께 eBPF의 성능을 극대화한 최신 메시 전략입니다.1. 개념 및 정의Cilium Ambient는 기존 Cilium CNI의 확장 기능으로, 사이드카 프록시를 제거하고 커널 수준(eBPF) 또는 사용자 공간 L7 관찰기(observer pod)를 통해 서비스 메시 기능을 구현합니다.사이드카 없는 실행: Pod에 별도 프록시 컨..

Topic 2025.06.02

eBPF Service Mesh

개요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를 활용한 Service Mesh는 기존의 사이드카 방식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 복잡성, 운영 오버헤드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고성능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커널 레벨에서 직접 트래픽을 제어하고 관찰함으로써, 프로세스 외부 프록시 없이도 보안, 트래픽 라우팅, 관측(Observability)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eBPF Service Mesh는 Linux 커널 내에서 실행되는 eBPF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서비스 통신을 가로채고 제어하는 서비스 메시 구현 방식입니다.eBPF: 커널 공간에서 안전하게 사용자 정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기술Service Mesh: 서비스 간 트래픽 관리, 보안, 정책..

Topic 2025.06.02

Golden Signals (L, T, E, S)

개요Golden Signals는 Google SRE(Site Reliability Engineering) 팀이 제안한 시스템 모니터링 핵심 지표로, **Latency(지연), Traffic(트래픽), Errors(오류율), Saturation(포화도)**의 네 가지를 가리킵니다. 이 지표들은 인프라, 애플리케이션, API 등 다양한 레이어의 성능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장애 감지 및 대응 속도를 높이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1. 개념 및 정의Golden Signals는 복잡한 서비스 운영 환경에서 다음 네 가지 핵심 질문을 기준으로 상태를 측정합니다:Latency (지연 시간): 요청에 대한 응답 시간은 적절한가?Traffic (트래픽): 시스템에 들어오는 요청량은 정상적인가?Errors (오류율)..

Topic 2025.06.02

Property-Based Testing(PBT)

개요Property-Based Testing(PBT)은 테스트 케이스를 하나하나 수동으로 작성하는 대신, 입력값을 자동 생성하여 정의된 속성(Property)에 대해 반복적으로 검증하는 테스트 기법입니다. 수많은 예제 기반 테스트를 자동으로 실행하면서도, 코드의 불변 조건이나 수학적 성질을 기반으로 테스트하므로 버그 탐지력과 코드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Property-Based Testing은 다음 요소로 구성됩니다:속성(Property): 함수나 시스템이 항상 만족해야 하는 일반적 규칙 (예: 정렬 결과는 항상 오름차순)입력값 생성기(Generator): 무작위 또는 전략적 방식으로 다양한 입력값 생성검증 함수: 각 입력에 대해 속성이 만족되는지 평가이 방식은 Edge ..

Topic 2025.06.02

매직 패킷(Magic Packet)

개요매직 패킷(Magic Packet)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원이 꺼진 컴퓨터를 원격에서 켤 수 있도록 해주는 특별한 포맷의 데이터 패킷입니다. WOL(Wake-on-LAN)의 핵심 구성 요소로, 로컬 또는 인터넷을 통해 특정 장치의 NIC(Network Interface Card)에 전달되면 컴퓨터가 부팅되는 방식입니다. 기업 네트워크, IT 자산 관리, 홈 오토메이션 등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됩니다.1. 개념 및 정의매직 패킷은 FF(16진수) 6바이트 + MAC 주소 16회 반복 구조의 특수한 이더넷 프레임입니다.목적: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를 원격으로 깨움(Wake-on-LAN)형식: FF FF FF FF FF FF + 16번 반복된 대상 MAC 주소전송 방식: 브로드캐스트 또는 특정 서브넷에 유니캐..

Topic 2025.06.0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