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JackerLab 2025. 4. 19. 05:15
728x90
반응형

개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는 오류 정정 기술(FEC: Forward Error Correction)과 재전송 요청 기술(ARQ: Automatic Repeat reQuest)을 결합한 고신뢰 통신 기법입니다. 단순한 오류 검출 후 재전송이 아닌, 부분적으로 손상된 데이터도 복원할 수 있도록 하여 통신 효율성과 신뢰성을 동시에 강화합니다. LTE, 5G, 위성 통신 등 고속 고품질 네트워크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1. 개념 및 정의

H-ARQ는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FEC를 적용하여 일정 수준의 오류는 수신 측에서 복원 가능하도록 하고, FEC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에만 **재전송 요청(ARQ)**을 수행합니다.

이로 인해 패킷 손실률이 높거나 지연이 큰 네트워크에서도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집니다. 대표적으로 Type I, Type II, Type III의 세 가지 H-ARQ 방식이 존재합니다.


2. 특징

구분 설명 비고
FEC + ARQ 융합 오류 정정 + 재전송을 하나의 흐름으로 처리 신뢰성 향상
전송 효율 증가 재전송 횟수 최소화 대역폭 절약
지연 시간 감소 재전송 이전에 복원 가능성 높음 QoS 보장

H-ARQ는 단순 ARQ보다 높은 복구 가능성과, 단순 FEC보다 유연한 전송 구조를 제공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인코더(FEC) 전송 데이터에 오류 정정 비트 추가 터보코드, LDPC 등 사용
디코더(FEC) 수신 데이터 복원 시도 오류가 일정 수준 이내일 경우 복원 성공
ACK/NAK 신호 복원 실패 시 송신자에 알림 NAK 수신 시 패킷 재전송
소프트 정보 누적 재전송 시 이전 전송된 정보와 결합 Type II, III에서 활용

소프트 결합 방식은 이전 수신된 신호의 정보까지 누적하여 복원률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설명 활용
Type I H-ARQ 오류 정정 후에도 실패 시 전체 프레임 재전송 간단한 구현, 낮은 성능
Type II H-ARQ 초기 전송 시 일부 FEC, 재전송 시 추가 정보 전송 점진적 복원 가능
Type III H-ARQ 각 재전송 데이터도 독립적으로 복원 가능 가장 유연하고 고성능

5G NR에서는 주로 Type II와 Type III H-ARQ가 사용되며,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동적으로 적용됩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설명 효과
높은 오류 복원력 FEC + 재전송으로 복구 가능성 극대화 전송 품질 향상
전송 자원 절약 불필요한 전체 재전송 방지 대역폭 효율 증가
QoS 보장 지연 시간 최소화 실시간 서비스 지원

H-ARQ는 고신뢰성이 요구되는 무선 및 이동통신 환경에서 탁월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분야 활용 예시 고려사항
LTE / 5G 이동통신 데이터 전송에서 H-ARQ 기반 복원 수행 타이밍 정확성 필요
위성 통신 긴 지연 시간의 네트워크에서도 신뢰성 확보 반복 전송 횟수 제한 고려
산업 자동화 / 로봇 제어 신호 안정성 유지 응답 시간과 성능 균형 필요

무선 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며, 수신 품질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합니다.


7. 결론

H-ARQ는 FEC와 ARQ의 장점을 통합하여 오류 복원성과 통신 효율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고성능 오류 제어 기술입니다. 무선, 이동, 위성 등 다양한 통신 환경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5G 이후에도 더욱 발전된 형태로 활용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  (0) 2025.04.19
Sliding Window  (0) 2025.04.19
Adaptive ARQ  (0) 2025.04.19
Selective Repeat ARQ  (0) 2025.04.19
Go-Back-N ARQ  (0)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