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기능점수법(Function Point Analysis)

JackerLab 2025. 4. 9. 22:05
728x90
반응형

개요

기능점수법(Function Point Analysis, FPA)은 소프트웨어의 기능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시스템의 크기(규모)를 측정하는 정량적 방법론입니다. LOC(Line of Code)와 달리 구현 언어에 독립적이며, 입력, 출력, 데이터 저장, 인터페이스 등 사용자 입장에서 제공되는 기능 요소를 수치화하여 개발 공수 및 비용을 객관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1. 개념 및 정의

기능점수법은 Albrecht가 IBM에서 1979년에 제안한 소프트웨어 규모 산정 방법론으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기준으로 소프트웨어의 크기를 측정합니다. 이는 개발 초기에 요구사항 수준에서 추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공공 IT사업 대가산정에서도 주요한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2. 특징

구분설명예시

언어/플랫폼 독립성 구현 기술과 무관하게 산정 가능 Java, .NET, Python 등 동일 기준 적용 가능
정량적 산정 기능 수와 복잡도를 기준으로 점수화 입력 3건, 출력 2건, 질의 1건 등
초기 산정 가능 요구사항 정의서만으로도 분석 가능 RFP 기반 산정 수행

기능 중심 분석으로, 객관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음.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설명 예시
EI(External Input) 시스템 외부에서 데이터 입력 회원가입, 로그인 요청
EO(External Output) 처리 결과 출력 보고서 출력, 알림 메시지 생성
EQ(External Inquiry) 질의 및 응답 구조 검색 기능, 조건부 조회
ILF(Internal Logical File) 내부 논리 파일 (데이터 저장) 사용자 테이블, 게시판 테이블
EIF(External Interface File) 외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외부 DB 조회, API 호출

각 항목은 복잡도(간단/보통/복잡)에 따라 점수가 달라짐.


4. 산정 절차 및 계산 방식

절차 설명 도구
Step 1 기능 항목 식별 (EI, EO 등) 요구사항 명세서 기반 기능 분해
Step 2 항목별 수량 및 복잡도 평가 각 항목에 단순/보통/복잡 점수 부여
Step 3 기능점수 총합 계산 (Unadjusted FP) 단순 합계 (ex. EI 5건 * 3점)
Step 4 조정 계수 적용 (VAF) 시스템 특성 14개 항목 평가 (0.65~1.35)
Step 5 최종 FP 산출 = UFP × VAF 최종 점수로 공수/비용 환산

산정 결과는 인건비 단가와 결합되어 총 사업비로 연결됨.


5. 장점 및 이점

항목 설명 효과
초기 견적 정확성 확보 구현 전 추정 가능 예산 사전 검토 용이
개발 규모 비교 가능 다른 시스템과 비교 용이 재사용 및 유사 사례 분석 가능
계약 분쟁 최소화 공수 산정의 표준화 객관적 기준 제시 가능

FP는 개발자-발주자 간 합리적 소통의 공통 기준 역할을 함.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활용 사례 설명 고려사항
공공기관 SW 개발 사업 기능점수 기반 예산 산정 및 RFP 작성 RFP에 기능 정의가 명확해야 함
ERP, 포털, 업무 시스템 등 기능이 명확한 트랜잭션 중심 시스템 표준화된 기능 템플릿 활용 가능
유지보수 계약 단가 산정 변경 기능에 대한 비용 책정 기능 변경이 FP 기준에 맞는지 검토 필요

과소산정 또는 중복산정 방지를 위한 전문가 검토가 반드시 필요함.


7. 결론

기능점수법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예산 산정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구현 기술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공공 부문의 정보화 사업에서 필수적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FP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예산 관리는 IT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출발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