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요
망분리(Network Segregation)는 외부 인터넷망과 내부 업무망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적 조치입니다. 내부 시스템에 대한 악성코드 유입, 해킹,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기밀 자산의 보호와 업무 연속성 확보를 위한 핵심 보안 전략으로 공공기관, 금융기관, 대기업 등을 중심으로 폭넓게 도입되고 있습니다.
1. 개념 및 정의
망분리는 정보보호 측면에서 **업무망(내부망)**과 **인터넷망(외부망)**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사용과 내부 시스템 접근을 구분하는 보안 정책입니다.
- 물리적 망분리: 사용자 단말기를 2대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단말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구분하는 방식
- 논리적 망분리: 가상화 기술(VM, VDI 등)이나 네트워크 정책을 통해 단말기 내에서 두 망을 논리적으로 분리
2. 특징
구분 | 설명 | 비고 |
고보안성 | 외부 인터넷과 업무망 간 직접 접점 제거 | 위협 차단 효과 높음 |
사용자 제한 | 망 간 자료 이동, 복사 제어 | 보안 USB, 자료 전송 게이트 필요 |
법제도 기반 | 공공/금융기관 도입 의무화 사례 다수 | 국내 정보보호 인증 대응 |
망분리는 단순한 기술 적용이 아닌 정책적·관리적 보안 체계와 결합되어 운영됩니다.
3. 구성 요소
구성 요소 | 설명 | 예시 |
업무망 | 전산 시스템, DB, ERP 등이 속한 내부 네트워크 | 기밀 정보 처리 영역 |
인터넷망 | 웹 브라우징, 이메일 등 일반 인터넷 사용 영역 | 외부 접속 허용 영역 |
자료 전송 시스템 | 두 망 간 자료 이동 통제 장치 | 보안게이트, 검역 시스템 |
인증 및 접근 제어 | 사용자 권한 기반 망 접근 제어 | NAC, MFA 등 통합 연계 |
망분리는 기술적 조치 외에도 사용자 행동 관리 및 감사 로그 체계를 함께 구축해야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4. 기술 요소
기술 요소 | 설명 | 활용 |
VDI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 가상 데스크탑 기반 논리적 망분리 | 업무망-인터넷망 전환 가능 |
DLP (Data Loss Prevention) | 자료 유출 방지 정책 기반 데이터 통제 | USB 차단, 이메일 검사 등 |
보안게이트 | 망 간 자료 전송 시 위변조 탐지 및 검역 | 백신, 샌드박스 연계 |
NAC (Network Access Control) | 접속 단말 상태 기반 망 접근 제어 | 비인가 접속 차단 |
기술 도입 시 반드시 정보보호 운영 정책과 연계한 통합 보안 아키텍처 설계가 병행돼야 합니다.
5. 장점 및 이점
장점 | 설명 | 효과 |
악성코드 유입 차단 | 인터넷에서 업무망으로의 전이 차단 | 랜섬웨어, 스피어피싱 대응 |
정보유출 방지 | 내부망 정보의 외부 유출 원천 차단 | 기밀 정보 보호 강화 |
규제 준수 용이 | 공공·금융 보안 인증 요건 충족 | ISMS-P, 금융보안원 기준 대응 |
망분리는 단순 방화벽 이상의 보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구조적 보안 전략입니다.
6. 주요 활용 사례 및 고려사항
분야 | 활용 예시 | 고려사항 |
공공기관 | 정부 부처 내부망 분리 운영 | 자료 이관 절차 수립 필요 |
금융기관 | 고객정보망과 인터넷망 분리 | 사내 이메일 연계 제한 고려 |
제조/산업제어 | OT망과 IT망 간 접점 제거 | 생산성 저하 최소화 고려 |
망분리 환경에서는 업무 효율성과 보안 간의 균형 설계가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7. 결론
망분리는 외부 위협으로부터 내부 시스템을 보호하는 가장 강력하고 기본적인 보안 인프라 전략으로, 정보 유출이 금지된 업무 환경이나 고위험 산업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단순한 기술적 분리를 넘어, 정책·운영·교육까지 통합된 보안 체계 수립이 효과적인 망분리 운영의 핵심입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어망(Control Network) (0) | 2025.04.19 |
---|---|
망연계(Network Separation) (1) | 2025.04.19 |
제로 레이팅(Zero Rating) (1) | 2025.04.19 |
SDR(Software Defined Radio) (0) | 2025.04.19 |
SDS(Software Defined System) (1)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