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c

부채널 공격(Side-Channel Attack)

JackerLab 2025. 4. 14. 01:57
728x90
반응형

개요

부채널 공격(Side-Channel Attack)은 암호 알고리즘 자체의 취약점이 아닌, 시스템이 암호 연산을 수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물리적 정보(전력 사용량, 시간 지연, 전자기파, 캐시 동작 등)를 분석해 비밀 정보를 추출하는 공격입니다. 고전적인 암호 해독을 넘어서 하드웨어 수준에서 수행되는 이 공격은 스마트카드, IoT 기기, 심지어 최신 CPU에서도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됩니다.


1. 부채널 공격의 개념 및 배경

부채널은 원래 공격자가 의도하지 않은 비공식적인 정보 출처입니다. 예를 들어, 암호 키 연산에 따라 연산 시간이 달라지거나 전력 소비 패턴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 물리적 현상을 정밀하게 분석하면 암호화된 정보를 역으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부채널 공격은 암호 알고리즘이 아무리 강력하더라도 구현체의 물리적 특성을 악용해 뚫을 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2. 주요 부채널 공격 유형

공격 유형 설명 대상 예시
타이밍 공격 연산 수행 시간의 미세한 차이로 키 유추 RSA, ECDSA
전력 분석 공격 전력 소비 패턴 분석으로 연산 유추 스마트카드, IoT 디바이스
차동 전력 분석(DPA) 수많은 전력 측정값 평균화 후 키 추출 AES 하드웨어 모듈
전자기파 분석(EMA) 연산 중 발생하는 전자기 방출 분석 고속 CPU, RFID
캐시 기반 공격 CPU 캐시 접근 패턴으로 민감 정보 추출 Spectre, Meltdown
음향·광학 분석 기기의 소리, LED 신호 등으로 내부 상태 유추 암호 장비, 키보드

이들 공격은 대부분 물리적 접근이 필요하지만, 최근엔 원격화된 부채널도 주목받고 있음.


3. 공격 절차 및 원리

단계 설명 도구
1단계 표적 장치 선정 및 정보 수집 계획 오실로스코프, 프로브, 전력 측정기
2단계 입력-출력 연산 중 물리 신호 수집 정밀 시간 측정, EM 방사 측정
3단계 측정값 전처리 및 통계 분석 Python, ChipWhisperer, R
4단계 키 후보값 추정 및 역산 수행 DPA, CPA, Hamming weight 모델 등

성공적인 공격은 수천~수만 개의 입력과 전력/시간 데이터 분석이 필요.


4. 실제 사례 및 위협 동향

사례 설명 영향
ChipWhisperer 실험 키트 교육용 하드웨어 전력 분석 실습 플랫폼 대학/연구기관에서 다수 활용
Meltdown & Spectre(2018) CPU 캐시 타이밍을 통한 권한 탈취 대부분의 인텔, ARM 칩 영향 받음
SGX 부채널 공격 인텔 SGX에서 메모리 접근 패턴 기반 정보 탈취 하드웨어 신뢰컴퓨팅 모델 무력화
PowerSpy(2023) 스마트폰 전력 소비만으로 위치·앱 사용 분석 Android 기기 대부분 취약

물리적 특성을 노리는 공격은 펌웨어·OS 레벨 방어만으로 한계가 있음.


5. 대응 및 방어 전략

전략 설명 적용 방법
정규화된 연산 시간 유지 타이밍 차이를 최소화 블라인딩, 고정시간 연산 적용
노이즈 삽입 측정값에 잡음 추가로 분석 방해 전력 노이즈, 랜덤 지연 등
물리적 차폐 및 회로 설계 전자기/전력 노출 최소화 금속 케이스, 전력 필터링 설계
보안 코프로세서 사용 공격에 특화된 방어 회로 내장 TPM, HSM, SE 등
감사 및 측정 차단 사용자 레벨에서 정밀 측정 불가능하게 제한 시스템 콜 접근 제한, sandboxing

설계단계부터 물리 보안 요소 포함하는 ‘Secure by Design’ 방식이 요구됨.


결론

부채널 공격은 암호 알고리즘 자체가 아닌 ‘구현된 현실’을 겨냥한 매우 정밀하고 은밀한 공격 방식입니다. 최신 보안 장비와 암호 알고리즘조차도, 물리적 흔적에 대한 대비가 없다면 쉽게 뚫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과 정부 기관은 소프트웨어 보안뿐 아니라 하드웨어, 회로, 전력 등 물리 보안 요소까지 아우르는 전방위적인 보안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Top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TP 취약점(Network Time Protocol Vulnerabilities)  (0) 2025.04.14
SMB 취약점(Server Message Block Vulnerabilities)  (1) 2025.04.14
부트킷(Bootkit)  (1) 2025.04.14
루트킷(Rootkit)  (0) 2025.04.14
ReRAM / MRAM / STT-MRAM  (1) 2025.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