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6/18 12

TransE

개요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의 정보는 기호 기반 삼중항 (head, relation, tail)으로 표현되며, 이를 머신러닝에 활용하려면 벡터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러한 벡터화를 위한 대표적인 임베딩 기법이 바로 **TransE(Translation Embedding)**입니다. TransE는 관계를 벡터 공간에서의 평행 이동(translation)으로 모델링하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알고리즘입니다.1. 개념 및 정의TransE는 개체와 관계를 같은 저차원 벡터 공간에 임베딩하여, 관계를 head entity에서 tail entity로의 **평행 이동(translation)**으로 모델링합니다.삼중항 (h, r, t)를 벡터 공간에 매핑하여, h + r 이 t 와 가깝도록 학습함목적: 벡..

Topic 2025.06.18

Knowledge-Graph Embedding

개요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KG)는 개체(entity)와 관계(relation)를 구조화하여 표현한 지식 표현 모델입니다. 하지만 KG는 기계가 직접 처리하기 어려운 기호(symbolic) 형태이기 때문에, 이를 수치 벡터 형태로 변환해 머신러닝이나 딥러닝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 바로 **Knowledge Graph Embedding(KGE)**입니다. 본 글에서는 KGE의 정의, 주요 알고리즘, 활용 사례 및 한계점에 대해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Knowledge Graph Embedding은 KG 내의 각 entity와 relation을 연속적인 저차원 벡터 공간에 매핑하는 표현 학습 기법입니다.목표: 구조화된 관계형 데이터를 신경망에서 활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구..

Topic 2025.06.18

Vector Database

개요AI, 추천 시스템, 자연어 처리, 이미지 분석 등 고차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급증하면서, 기존 관계형 또는 문서형 데이터베이스로는 대응이 어려운 벡터(Vector) 기반 데이터 저장 및 검색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등장한 **Vector Database(벡터 데이터베이스)**는 벡터 임베딩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유사도 기반 검색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특화된 데이터베이스입니다.1. 개념 및 정의Vector Database는 고차원 공간의 벡터 데이터를 저장하고, 입력 벡터와의 유사도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결과를 검색하는 벡터 유사도 검색에 특화된 데이터베이스입니다.벡터: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등에서 추출된 고차원 임베딩유사도 검색: Cosine Simil..

Topic 2025.06.18

ETSI MEC (Multi-access Edge Computing)

개요5G 및 IoT의 급속한 확산은 네트워크 트래픽과 지연 시간 문제를 야기하며, 이에 따라 중앙 집중형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한계가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기술이 바로 **Multi-access Edge Computing(MEC)**이며, ETSI(유럽 전기통신표준협회)는 이를 위한 국제 표준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ETSI MEC의 개념, 아키텍처 구성, 기술적 특성, 주요 활용 사례 등을 상세히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ETSI MEC는 사용자 또는 기기에 가까운 네트워크 엣지에서 데이터 처리와 응용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기반의 엣지 컴퓨팅 프레임워크입니다.MEC = Multi-access Edge ComputingETSI ISG MEC: MEC ..

Topic 2025.06.18

Vertical Pod Autoscaler (VPA)

개요쿠버네티스(Kubernetes)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화하여 배포하고 확장하는 데 매우 유용한 플랫폼입니다. 그러나 컨테이너의 리소스 설정(cpu/memory requests & limits)이 고정되어 있다면 실제 사용량과 괴리가 발생해 과소/과다 할당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동 조절 솔루션 중 하나가 바로 **Vertical Pod Autoscaler(VPA)**입니다.1. 개념 및 정의VPA는 쿠버네티스에서 실행 중인 파드(Pod)의 리소스 요청(Requests)과 제한(Limits)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최적화하는 컴포넌트입니다.주요 목적: 파드의 CPU 및 메모리 리소스를 동적으로 조정하여 비용과 성능 최적화작동 방식: 리소스 사용량을 기반으로 추천값을 계산하고 Po..

Topic 2025.06.18

NVMe Zoned Namespace (ZNS)

개요고성능 저장 장치 수요 증가에 따라, 기존 NVMe SSD가 겪던 쓰기 증폭(Write Amplification)과 가비지 컬렉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Zoned Namespace (ZNS)**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ZNS는 SSD의 물리적 구조를 애플리케이션에 노출시켜 데이터 쓰기 방식을 제어함으로써 성능과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저장 아키텍처입니다.1. 개념 및 정의ZNS는 NVMe 1.4에서 도입된 확장 규격으로, SSD를 Zone 단위로 구분하여 순차적 쓰기를 유도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에 최적화된 입출력을 가능하게 합니다.ZNS: Zoned Namespace목표: 쓰기 증폭 감소, GC 오버헤드 제거, SSD 수명 연장특징: 호스트 주도(HoH, Host-awa..

Topic 2025.06.18

RASP (Runtime Application Self-Protection)

개요사이버 보안 위협이 고도화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실시간으로 공격을 탐지하고 방어할 수 있는 RASP(Runtime Application Self-Protection)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동안 스스로 보안 상태를 인지하고 악성 행위를 차단하는 차세대 보안 방식으로, 특히 DevSecOps 환경에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RASP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서 보안 위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방어하는 기술입니다. 기존 외부 중심의 보안 솔루션(WAF, IPS 등)과 달리, 애플리케이션 내부에 직접 삽입되어 동작합니다.작동 방식: 런타임 중 코드 분석 및 트래픽 감시로 위협 탐지보호 범위: SQL Injection, XSS, ..

Topic 2025.06.18

LitmusChaos

개요분산 시스템과 마이크로서비스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시스템의 회복 탄력성(resilience)을 사전에 검증하는 **카오스 엔지니어링(Chaos Engineering)**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LitmusChaos는 쿠버네티스 환경에서 손쉽게 카오스 실험을 설계, 실행, 분석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신뢰성 높은 시스템 운영의 핵심 도구로 부상하고 있습니다.1. 개념 및 정의LitmusChaos는 쿠버네티스 기반 인프라에서 카오스 테스트(장애 시뮬레이션)를 자동화하여 시스템의 내결함성을 검증하는 카오스 엔지니어링 툴킷입니다.개발 주체: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산하 오픈소스 프로젝트주요 목적: 장애 유도 실험을 통해 복원력 있는 시스템 설계핵심 철..

Topic 2025.06.18

Testcontainers

개요소프트웨어 품질 확보를 위한 자동화 테스트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실제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인프라를 재현하기 위한 도구로 Testcontainers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Docker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통합 테스트 환경을 구성하며, 데이터베이스, 메시징 시스템, 브라우저 등 다양한 의존 시스템을 테스트 실행 시점에 자동으로 생성하고 제거합니다.1. 개념 및 정의Testcontainers는 테스트 중 필요한 외부 의존성을 Docker 컨테이너로 동적으로 실행하여, 테스트 자동화를 보다 신뢰성 있게 만드는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입니다.목적: 실제 실행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환경을 손쉽게 구성방식: 테스트 코드 내에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테스트 종료 후 제거주요 언어 지원: Java, Kotl..

Topic 2025.06.18

InnerSource 거버넌스

개요조직 내 소프트웨어 개발의 민첩성과 협업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InnerSource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InnerSource는 오픈소스 방식의 개발 문화를 내부 조직에 적용하는 것으로, 그 핵심 성공 요소 중 하나는 체계적이고 투명한 **거버넌스(Governance)**입니다. 본 글에서는 InnerSource 거버넌스의 개념, 구조, 기술적 구현 방식, 기대 효과, 그리고 도입 시 고려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합니다.1. 개념 및 정의InnerSource 거버넌스는 조직 내부에서 오픈소스 개발 방식(자율 기여, 코드 리뷰, 투명한 이슈 관리 등)을 적용할 때 필요한 정책, 역할, 절차, 규칙 등의 체계를 말합니다.목표: 협업의 효율성과 코드 품질 향상, 기술 자산의 재사용성 극대화적용 방식: 조직..

Topic 2025.06.18

Trunk-Based Development

개요DevOps, CI/CD, 애자일 개발 방식이 일반화되면서 개발 속도와 품질을 동시에 잡기 위한 전략으로 **Trunk-Based Development(TBD)**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TBD의 정의, 기존 방식과의 차이점, 기술 스택, 도입 효과 및 실제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봅니다.1. 개념 및 정의Trunk-Based Development는 모든 개발자가 하나의 메인 브랜치(trunk, 주 브랜치)에 자주 통합(merge)하는 개발 방식입니다. 장기적으로 분기된 브랜치 사용을 지양하고, 소규모 변경을 빠르게 반영하여 코드 품질과 배포 속도를 동시에 확보합니다.Trunk(또는 main/master): 모든 기능 개발과 버그 수정을 통합하는 중심 브랜치특징: Feature Branc..

Topic 2025.06.18

ISO 56002

개요글로벌 경쟁 심화와 빠른 기술 변화 속에서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혁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습니다. 이에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조직의 혁신 활동을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관리하기 위한 표준으로 ISO 56002:2019를 제정하였습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ISO 56002의 개요, 특징, 구성 요소, 기술적 접근법, 실무적 이점과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상세히 다룹니다.1. 개념 및 정의ISO 56002는 조직의 혁신 경영 시스템(Innovation Management System, IMS)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혁신을 조직의 문화와 전략에 통합하고 지속 가능한 가치 창출을 가능하게 합니다.정식 명칭: ISO 56002:2019 Innovation management..

Topic 2025.06.18
728x90
반응형